출처 : https://news.v.daum.net/v/20190804210008632?s=tv_news
위안부 피해 생존자 20명..화해치유재단 해산 그 후
노유진 기자 입력 2019.08.04 21:00 수정 2019.08.04 21:51
<앵커>
오늘(4일) 위안부 피해 할머니 한 분이 또 돌아가셨습니다. 이렇게 되면서 올해 숨진 피해 할머니가 모두 5명이 됐고, 반대로 생존자는 20명으로 줄었습니다. 아직 일본 정부가 제대로 된 사과 안 했고 또 위안부 합의 대가라고 보냈던 돈 100억 원도 깔끔하게 처리가 안 되고 있습니다.
그 돈을 바탕으로 만들었던 화해치유재단, 정부가 해산 결정을 내린 이후에 어떻게 일이 진행되고 있는지, 노유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故 김복동/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난해 9월) : 위로금이라 하는 거는 1천억(원)을 줘도 우리는 받을 수가 없다. 하루라도 빨리 재단을 철거하고….]
위안부 피해자들의 재단 해산 요구 속에 지난해 9월 한일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처음으로 화해치유재단 해산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이후 두 달 만에 정부는 재단 해산을 공식화했고, 재단법인 해산 수순을 밟아 지난달 3일 해산 등기를 마쳤습니다.
이제 잔여재산 등을 처분한 뒤 청산 종결등기를 하면 재단은 완전히 해산됩니다.
그런데 재산 처분이 문제입니다.
생존자 34명과 유족 58명에게 지급한 지원금, 운영비 사용분 등을 빼면, 일본이 출연한 103억 가운데 약 59억 원이 공중에 떠 있습니다.
정부는 재단 해산 후 예비비 103억 원을 편성해 일본에 돌려주고, 남아 있는 59억 원은 피해자 지원에 쓰겠다고 했는데, 아직 한 건도 지급하지 못했습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유족 : (유언으로) 꼭 사죄를 받고 배상을 받아라, 그런 말씀을 꼭 하셨기 때문에 그래서 저는 신청도 안 하고, 흘러온 것 같습니다. 우리가 어디 가서 하소연할 데도 없고….]
최악의 한일 관계 속에 일본이 재단해산 절차에 협조할 가능성은 낮은 상황, 위안부 합의에 반대하며 지원금을 신청하지 않았던 피해자와 유족에 대한 지원을 모색할 때입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 영상편집 : 유미라)
노유진 기자knowu@sbs.co.kr
'근현대사 > 위안부,강제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독] 꽃다운 조선 소녀는 잊히고.. 화장실로 변한 '印尼 위안소' - 한국 (0) | 2019.08.08 |
---|---|
"위안부 고통에 반성"... 26년 전 일본은 왜 인정했을까? - 오마이뉴스 (0) | 2019.08.05 |
일본이 소녀상에 집착하는 이유.."과거 만행 총체적 상징물" - KBS (0) | 2019.08.05 |
나고야 시장 "소녀상, 일본인 마음 짓밟아"..철거 요구 - SBS (0) | 2019.08.03 |
일본 전시 '평화의 소녀상' 철거되나... "우익들 맴돌며 이상한 행동" - 오마이뉴스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