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2500&key=20100608.22023195649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38> 알타이와 바이칼은 한민족 기원지일까
한민족 북방기원설, 일제 식민지지배 정당화 논리로 등장
국제신문디지털콘텐츠팀 inews@kookje.co.kr | 입력 : 2010-06-07 20:04:55 | 본지 23면
- 일본인 학자 우메하라, 한민족 타율성 강조
- 식민사관에 입각 한국문화 기원지로 시베라아 지역 지목
- 한반도 독자적 유물 해방 후 잇단 발굴로 억지 주장 설득력 잃어
- 북방기원설 동조도 자생설 맹신도 위험
- 유라시아 지역 문화 교류로 이해해야
한국 사람에게 한민족 북방기원설은 결코 낯설지 않다. 역사에 관심이 없는 사람이라도 한민족의 기원을 이야기하면 막연히 알타이와 바이칼호수를 떠올린다. 아마도 한국어가 우랄-알타이어계통이라고 초등학교 때부터 배워온 이유가 클 것이다. 그리고 지금은 없어졌지만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한국의 청동기에는 아연이 포함돼 있어 중원의 청동기와는 다른 스키토-시베리아 유형이라는 구절이 있었다. 게다가 신라의 적석목곽분과 비슷한 파지릭고분이 알타이에 있다는 점도 여러 역사 다큐멘터리에서 다뤘기 때문에 북방기원설은 더더욱 친근감 있다. 지금은 이 구절은 삭제됐지만, 30~40대에게 스키타이나 시베리아가 친근하게 다가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친숙한 '한민족 북방기원설' 일제시대 출현
일본의 오쿠라컬렉션에 포함돼 있는 청동기.
이렇듯 우리에게 무척 친근한 북방의 초원문화가 과연 우리 민족의 기원인지는 아직도 많은 논란이 있다. 필자 역시 한국과 유라시아 초원은 고대 이래로 꾸준히 문화교류를 해왔음은 분명하지만, 대규모의 사람들이 한반도로 밀려왔다고는 보고 있지는 않다. 그보다 흥미로운 점은 한민족의 북방기원설이 처음 제기된 것은 일제강점기 때이며, 식민지 한국을 조사하던 일본의 고고학자들이 그 주역이었다는 점이다.
1920년대 중국의 하얼빈은 러시아 땅이었다. 동정철도의 부설과 함께 러시아 사람들은 하얼빈을 개발했다. 당시 하얼빈에서 활동하던 러시아인 역사·고고학자들은 '만주연구회'를 구성하여 만주지역의 역사·고고·민속 등을 광범위하게 조사했다. 이 러시아 학자들은 우리에게 친숙한 발해의 수도인 동경성(東京城), 금나라의 성인 아성(阿城), 한국 신석기시대 융기문토기의 기원지로 꼽히는 유적인 앙앙계(昻昻溪) 등을 조사했다. 그 중 하얼빈박물관에서 근무했던 톨마쵸프(V.Ya. Tolmachev)라는 학자가 초원의 청동기가 만주지방으로 파급되었음을 발견했다.
톨마쵸프의 인생역정은 러시아 혁명 와중 사방으로 흩어진 러시아 지식인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그는 우랄산맥 근처에서 살다가 10월 혁명의 와중에 이르쿠츠크로, 또 다시 하얼빈으로 피해서 살았다. 뒤에 그는 하얼빈이 중국땅이 되지 다시 캐나다로 이주했다. 톨마쵸프는 우랄산맥 근처에서 스키타이 시대의 유적을 조사했기 때문에 초원지역 청동기에 대해 잘 알고 있었다.
경북 경산 신대동 삼한시대 목관묘에서 출토된 호랑이모양 허리띠 장식. 당시 유행했던 이 같은 동물 모양 금속장식은 초원지대 문화권과 한반도 문화 사이의 관련성을 잘 보여준다.
그런데 그가 헤이룽장(黑龍江)성의 유림푸에서 발견된 청동기를 보고 경탄했다. 그가 우랄산맥 근처에서 조사한 스키타이시대의 동물장식과 너무나 흡사했던 것이다. 스키토-시베리아 유형의 청동기가 만주지역으로 전파된 최초의 증거를 발견한 것이다. 그가 본 청동기는 흉노의 일파인 선비족들이 흑룡강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남긴 유물이었다.
사실 1910~1920년대 이미 독일의 민스(Minns)나 예일대 교수였던 러시아인 로스트프체프(P.I,Rostovcheff)같은 학자들이 초원의 청동기가 중국에도 유입되었음을 밝혔다. 그런데 톨마쵸프는 더 나아가서 초원지역 청동기가 중국을 넘어 더 동쪽인 만주까지 확대된 것을 밝혔다. 부평초 같은 인생을 살았던 톨마쵸프의 연구는 러시아 내에서 혁명의 와중에 잊혀졌지만, 이후 일본의 학자들에게도 알려져 한민족의 북방기원설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 일본고고학자의 러시아여행
'한민족의 북방 기원설'을 처음 제기했던 일제시대 일본의 고고학자 우메하라 스에지.
중학교만을 졸업한 사람이 일류 국립대의 교수가 될 수 있을까? 바로 교토대 교수를 역임한 우메하라 스에지(梅原末治)라는 학자 이야기다. 그는 1914년에 중졸의 학력으로 교토대 진열관(현재의 대학박물관)의 자원봉사자 격으로 들어온 후, 1939년 45세 나이로 교토대학 고고학과의 최고 교수 자리에 올랐다. 소설 같은 우메하라의 성공은 교토대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것이다. 우메하라 스에지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식민지시대의 한국 조사와 러시아·유럽 유학이 있었다.
식민지 시대에 한국은 일본 학자들의 발굴연습장이 되어 있었다. 특히 일본 교토대는 매년 사람을 파견해서 고분 등을 조사했다. 실측에 능력이 뛰어났던 우메하라는 한국의 다양한 유물을 조사하며 경력을 쌓아나갔다. 그러던 중 당시 일본에서 유행이었던 구미 세계로의 유학기회가 주어졌다. 우메하라는 당시로서는 최신 자료인 시베리아의 여러 자료를 섭렵할 수 있었으며, 갓 식민지가 된 한국과 중국의 여러 자료를 서양 학계에 소개했다.
러시아와 서구의 학자들은 무학에 가까운 우메하라를 높이 평가했고, 이는 그가 향후 교토대의 교수가 되는 큰 계기가 되었다. 우메하라는 당시 1920년대 러시아가 발굴한 시베리아와 몽골의 스키토-시베리아 고분 유물을 실제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하얼빈의 톨마쵸프를 만나면서 만주지역에도 스키타이 계통의 유물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우메하라는 한반도의 청동기에서도 보이는 북방계 요소가 만주를 거쳐 한반도로 유입된 스키타이계통의 문화라고 보았다. 중국의 전국시대 말기에 중국이 혼란해지면서 유이민들이 사방으로 퍼져나가다가 한반도로도 들어왔고, 그 덕택에 한반도도 청동기시대가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우메하라가 제시한 한국문화 북방기원설은 당시로서는 최신인 옛 소련의 자료를 이용했기에 주목을 끌었다. 또한 한반도의 고대문화를 고립된 변방으로 한정한 것이 아니라 스키타이 문화와 관련지으면서 당시 선진국이었던 러시아와 유럽에 어필할 수 있었다.
■왜 일본인들은 시베리아에 주목했을까
초원의 동물모양 장식품이 중국과 한반도 등 동아시로 전파된 것을 밝혀낸 러시아 출신 고고학자 로스트프체프(왼쪽)와 부인.
우메하라가 한국 문화의 기원지로 시베리아를 꼽은 것은 사실은 강한 식민사관의 영향이다. 일본은 한국을 점령하면서 한민족의 타율성과 정체성을 들어서 식민지 지배를 합리화했다. '한국은 북쪽은 한나라의 낙랑군이 설치되기 이전에는 금속을 모르는 미개한 석기시대가 지속되었으며, 남쪽은 임나일본부가 설치되어서 식민지였다'고 보았다. 즉 한국은 옛날부터 다른 문명국이 식민지로 만들어야만 비로소 역사가 발전하는 미개한 나라이기 때문에, 지금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로 만들어 '문명화'하지 않으면 계속 미개하기 살게 될 것이므로 식민지화는 한국인을 위한 것이라는 억지주장을 했다.
일제 강점 이후 한국을 고고학적으로 조사해보니 낙랑군이 설치되기 이전부터 세형동검, 청동거울 등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청동기가 존재함이 확인되기 시작했다. 일제 식민지의 논리라면 한국은 중국의 식민지 이전에는 독자적인 청동기가 나와서는 안되었다. 그래서 일본 학자들은 세형동검에 보이는 동물장식을 들어 한국의 청동기는 중국 북방과 시베리아의 유목민족이 전란을 피해 한국으로 유입한 결과라고 보았다. 일본 학자들이 초원지역과의 관련성을 밝혀낸 것은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관련이 아니라, 중국 세력의 유입 및 임나일본부설과 함께 제 3의 기원지로 스키타이문화를 만들어낸 셈이었다. 그러니 기원지의 위치만 바뀌었을 뿐 북방기원설도 '한민족의 타율성론'을 설명하는 도구였던 것이다.
■'자생설'에만 기대는 것도 경계해야
최근 한국에서 북방지역과의 관련성을 부정하는 학자들이 늘고 있다. 신라 적석목곽분의 경우 누가 봐도 분명한 초원지역의 무덤에 유물도 나왔건만, 자생설을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북방기원설이 일제 때에 등장한 이후 누구 하나 유라시아 초원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없이 옛 자료만 가지고 이야기했기 때문이다. 신라의 적석목곽분이나 황금보검같은 유물들을 단순하게 한반도 자생적인 것으로만 설명하는 것도 모순이다. 왜냐하면 당시 유라시아는 거대한 '민족의 이동' 시기였으며, 자생설은 유라시아의 여러 자료에 대해서는 전혀 무지한 상태에서 내린 결론이기 때문이다. 북방문화기원설 또한 그것이 일제 식민지시대의 산물이기 때문에 엄정하고 비판적인 태도로 보지 않을 수 없다.
'목욕물과 아기'라는 서양속담이 있다. 더러워진 목욕물을 버리겠다고 욕조 안에 있는 아기까지 같이 버리지 말라는 뜻이다. 일제 잔재를 극복하는 길은 주변 실정을 무시한 자생론에 기대는 것이 아니라 유라시아와의 문화교류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21세기인 지금 북방의 여러 나라는 꿈에도 못 가보는 나라들이 아니라 한국의 수출품이 넘치는 주요한 파트너들이 되었다. 이런 때, 아직도 70~80년 전 이야기로 한민족의 기원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 우리 학자들이 직접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해 한민족의 형성과정을 차근히 풀어나갈 때가 되지 않았을까. 필자가 일생을 두고 풀어보고 싶은 과제이기도 하다.
강인욱 부경대 사학과 교수
'한국사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2> 구석기인들, 유라시아 대륙을 거쳐 동아시아로 오다 - 국제 (0) | 2019.11.14 |
---|---|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1> 부산, 초원을 만나다 - 국제 (0) | 2019.11.12 |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35> 치우의 청동투구와 황제 - 국제 (0) | 2019.11.11 |
초원에서 한반도까지 <17> 반구대 암각화, 초원과 한반도를 잇다 - 국제 (0) | 2019.11.11 |
조유전 한국사 여행 (17) 북한강변 화천 용암리·위라리 유적 - 경향 (0) | 2019.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