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levelId=hm_008_0030


백제의 건국 이야기


百濟始祖温祚王, 其父鄒牟, 或云朱蒙. 自北扶餘逃難至卒本扶餘. 扶餘王無子, 只有三女子, 見朱蒙, 知非常人, 以弟二女妻之未幾. 扶餘王薨, 朱蒙嗣位, 生二子長曰沸流, 次曰温祚.【或云, 朱蒙到卒夲, 娶越郡女, 生二子.】


及朱蒙在北扶餘, 所生子來爲太子, 沸流⋅温祚恐爲太子所不容, 遂與烏干⋅馬黎等十臣南行, 百姓從之者多. 遂至漢山登負兒嶽, 望可居之地. 沸流欲居於海濵, 十臣諌曰. 惟此河南之地, 北帶漢水, 東據髙岳, 南望沃澤, 西阻大海, 其天險地利難得之勢. 作都於斯不亦冝乎. 沸流不聽分, 其民歸弥鄒忽以居之. 温祚都河南慰禮城, 以十臣爲輔翼, 國號十濟. 是前漢成帝鴻嘉三年也.


沸流以彌鄒圡濕水鹹, 不得安居. 歸見慰禮都邑, 鼎定人民安泰, 遂慙悔而死. 其臣民皆歸於慰禮. 後以來時, 百姓樂從, 改號百濟. 其世系與髙句麗同出扶餘, 故以扶餘爲氏.


【一云. 始祖沸流王, 其父優台, 北扶餘王觧扶婁庻孫, 母召西奴, 卒夲人延陁勃之女. 始歸于優台生子二人, 長曰沸流, 次曰温祚. 優台死, 寡居于卒本. 後朱蒙不容於扶餘, 以前漢䢖昭二年春二月, 南奔至卒夲, 立部號髙句麗, 娶召西奴爲妃.】


【其於間基創業頗有内助, 故朱蒙寵接之特厚, 待沸流等如己子. 及朱蒙在扶餘, 所生禮氏子孺留來, 立之爲大子, 以至嗣位焉. 於是沸流謂弟温祚曰. 始大王避扶餘之難, 逃歸至此, 我母氏傾家財助成邦業, 其助成郅業其勤勞多矣. 及大王猒丗, 國家屬於孺留, 吾等徒在此欝欝如疣贅, 不如奉母氏, 南遊卜地别立國都.】


【遂與弟率黨類, 渡浿帶二水, 至彌鄒忽, 以居之. 北史及隋書皆云, 東明之後有仇台, 篤於仁信. 初立國于帶方故地, 漢遼東大守公孫度, 以女妻之, 遂爲東夷強國, 未知孰是.】

『三國史記』卷13 「百濟本紀」1 溫祚王



백제(百濟) 시조 온조왕(溫祚王)의 아버지는 추모(鄒牟)인데 혹은 주몽(朱蒙)이라고도 하였다. 북부여(北扶餘)에서 난을 피해 졸본부여(卒本扶餘)에 이르렀다. 부여왕은 아들이 없고 딸만 세 명이 있었는데 주몽을 보고는 보통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둘째 딸을 아내로 삼도록 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부여왕이 죽자 주몽이 왕위를 이었다. 두 아들을 낳았는데 맏아들은 비류(沸流)라 하였고, 둘째 아들은 온조(溫祚)라 하였다.【혹은 주몽이 졸본에 도착하여 월군(越郡)의 여자를 아내로 맞아들여 두 아들을 낳았다고도 한다.】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낳은 아들이 와서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태자에게 용납되지 못할까 두려워하며 마침내 오간(烏干)⋅마려(馬黎) 등 10명의 신하와 함께 남쪽으로 갔는데 백성 중 따르는 자가 많았다. 드디어 한산(漢山)에 이르러 부아악(負兒嶽)에 올라 살 만한 곳을 바라보았다. 비류가 바닷가에 살고자 하니 열 명의 신하가 간하였다. “이 강 남쪽의 땅은 북쪽으로는 한수(漢水)를 띠처럼 두르고 있고, 동쪽으로는 높은 산을 의지하였으며, 남쪽으로는 비옥한 벌판을 바라보고, 서쪽으로는 큰 바다에 막혔으니 이렇듯 하늘이 내려 준 험준함과 지세의 이점은 얻기 어려운 형세입니다. 여기에 도읍을 세우는 것이 또한 좋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비류는 이를 듣지 않고 그 백성을 나누어 미추홀(彌鄒忽)로 돌아가 살았다. 온조는 강 남쪽 위례성(慰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10명의 신하를 보좌로 삼아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 이때가 전한(前漢) 성제(成帝) 홍가(鴻嘉) 3년이었다.


비류는 미추홀의 땅이 습하고 물이 짜서 편안히 살 수 없었다. 위례에 돌아와 보니 도읍은 안정되고 백성들도 평안하므로 마침내 부끄러워하고 후회하다 죽었다. 그의 신하와 백성들은 모두 위례에 귀부(歸附)하였다. 훗날 내려올 때에 백성들이 즐겨 따랐다고 하여 국호를 백제(百濟)라 고쳤다. 그 계통은 고구려와 더불어 부여에서 같이 나왔기 때문에 부여를 성씨(姓氏)로 삼았다.【또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시조 비류왕(沸流王)은 그 아버지는 우태(優台)로 북부여왕(北夫餘王) 해부루(解夫婁)의 서손(庶孫)이었고, 어머니는 소서노(召西奴)로 졸본인(卒本人) 연타발(延陀勃)의 딸이었다. 처음에 우태에게 시집가서 아들 둘을 낳았는데 큰 아들은 비류라 하였고, 둘째는 온조라 하였다. 우태가 죽자 졸본에서 과부로 지냈다. 뒤에 주몽이 부여에서 용납되지 못하자 전한 건소(建昭) 2년(기원전 37년), 봄 2월에 남쪽으로 도망하여 졸본에 이르러 도읍을 세우고 국호를 고구려(高句麗)라고 하고, 소서노를 맞아들여 왕비로 하였다.】


【주몽은 그녀가 나라를 창업하는 데 잘 도와주었기 때문에 총애하고 대접하는 것이 특히 후하였고 비류 등을 자기 자식처럼 대하였다. 주몽이 부여에 있을 때 예씨(禮氏)에게서 낳은 아들 유류(孺留)가 오자 그를 태자로 삼고 왕위를 잇기에 이르렀다. 이에 비류가 동생 온조에게 말하였다. “처음 대왕께서 부여의 난을 피하여 이곳으로 도망쳐 왔을 때, 우리 어머니가 가산을 내주어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위업을 도와 어머니의 조력과 공로가 크다. 그런데 대왕께서 돌아가시자 나라가 유류에게 돌아갔다. 우리가 공연히 여기에 있으면서 쓸모 없는 사람같이 답답하고 우울하게 지내는 것보다는, 차라리 어머님을 모시고 남쪽으로 내려가 살 곳을 선택하여 별도로 도읍을 세우는 것이 좋겠다.”고 하였다.】


【마침내 그의 아우와 함께 무리를 이끌고 패수(浿水)와 대수(帶水) 두 강을 건너 미추홀에 와서 살았다고 한다. 『북사(北史)』와 『수서(隋書)』에는 모두 “동명(東明)의 후손 중에 구태(仇台)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사람이 어질고 신의가 돈독하였다. 그가 처음으로 대방(帶方) 옛 땅에 나라를 세웠는데, 한(漢) 요동태수(遼東太守) 공손도(公孫度)가 자기 딸을 아내로 삼도록 하였으며, 마침내 동이(東夷)의 강국이 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니, 어느 주장이 옳은지 알지 못하겠다.】

『삼국사기』권13 「백제본기」1 온조왕



이 사료는 『삼국사기』에 전하는 백제 건국 신화이다. 백제 건국 시조는 다양한 사료에서 전한다. 『삼국사기』 온조왕(溫祚王) 즉위조에서는 백제 시조를 온조라고 하였으나, 그 주(注)에서는 온조가 아닌 비류(沸流)로 전하고 있다. 한편 『삼국유사』 기이(紀異)편 남부여조에서는 온조로 되어 있다. 이 밖에 『수서(隋書)』⋅『북사(北史)』 백제전(百濟傳)에는 “동명(東明)의 후예인 구태(仇台)가 대방(帶方)의 옛 땅에 나라를 세웠다.”라고 하여 온조나 비류가 아닌 구태가 백제를 세웠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속일본기(續日本記)』 환무천황(桓武天皇) 8⋅9년조에는 “백제 태조 도모대왕(都慕大王)”으로 기록되어 온조⋅비류⋅구태가 아닌 도모라는 또 다른 백제의 시조에 대해 전하고 있다.


이처럼 백제 시조에 대한 신화가 다양한 것은 백제의 건국 과정에 여러 세력이 참여하였거나, 당시 각 세력마다 독자적인 건국 신화를 가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백제의 시조 전승에 대한 사료는 단순한 건국 신화가 아니라 백제가 건국되는 과정과 그 이후 역사 전개과정에서 어떻게 이들에 대한 전승이 신화로서 자리매김하였는지를 보여 주는 매우 중요한 기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2명의 백제 시조에 대해 전하고 있는 『삼국사기』의 내용은 백제의 건국 및 초기 사회의 모습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삼국사기』 온조 왕조의 기록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주몽(朱蒙)-온조로 이어지는 부계 관계를 중심으로 한 건국 신화이다. 이 기록에서는 주로 온조 아버지인 주몽과의 관계, 유류(孺留)의 등장으로 인한 남하, 그 후 위례성(慰禮城)에 정착하여 백제를 건국하기까지 온조를 중심으로 서술된 부분이다. 또 다른 하나는 본문에 이어 나오는 할주(割註) 부분으로, 이에 따르면 비류와 온조의 아버지가 주몽이 아닌 우태(優台)로 기록되어 있다. 이 기사는 앞서 보이는 주몽-온조계 중심의 서술에 비하여 일관되게 부여 계통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서술의 중심 역시 온조보다 비류에 맞추는 점이 특징이다.


여러 기록을 종합하여 본다면 비류와 온조 세력은 고구려에서 남하한 이후 각각 미추홀(彌鄒忽)과 위례에 정착하여 소국(小國)을 세우고 한강 중⋅하류 지역에서 세력 증대를 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이들 세력은 한강을 매개로 하여 보다 확대된 연맹체를 형성하였고, 이는 백제가 성립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건국 설화에서 비류와 온조가 형제라고 표현된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둘이 실제 혈연상의 형제보다는 두 집단이 연맹을 형성하고 그 관계를 보다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형제’로 결합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미추홀에 남아 있던 비류 세력이 귀부해 오고 온조왕이 토착 마한(馬韓) 세력을 통합하여 국호를 십제(十濟)에서 백제(百濟)로 바꿨다는 것은 백제의 성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백제의 시조가 온조라면 비류를 시조로 하는 전승이 언제, 어떻게 하여 형성되었는지 의문이 남는다. 이와 관련하여 백제의 왕계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비류와 온조를 각각 시조로 받드는 전승은 초고왕(肖古王, 재위 166~214)계와 고이왕(古爾王, 재위 234~286)계의 교립(交立)에 따른 현실적 영향에 의한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백제 초기 왕위 계승은 개루왕(蓋婁王, 재위 128~166) 이후 초고계와 고이계가 양립하면서 전개되는데, 특히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전하는 고이왕의 즉위 과정에 대한 기록은 그가 왕이 되는 과정이 결코 순탄치 않았음을 보여 준다. 더욱이 고이왕은 이전의 왕들과는 달리 전 왕의 아들이 아닌 초고왕의 ‘모제(母弟)’로 즉위하여 기존의 왕계와 다른 존재로 표현된 점에서 고이계와 초고계의 교립을 왕실 세력의 교체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이 때문에 비류와 온조 시조 전승은 각각 고이왕계(우태-비류-고이왕계)와 초고왕계(주몽-온조-초고왕계)로 나누어 성립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대체로 백제 왕실은 고이왕계가 계왕(契王)을 끝으로 단절되고 근초고왕(近肖古王, 재위 346~375)이 즉위하면서 다시 초고계로 이어진다. 더욱이 근초고왕 대에 백제의 사서인 『서기(書記)』가 편찬되면서 백제사는 온조를 중심으로 하는 시조 전승으로 재편되어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삼국사기』에 전하는 백제의 건국 설화는 백제의 건국과정과 이에 참여한 다양한 세력 및 그 성격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건국과정에서의 문제뿐만 아니라 이후 전개되는 백제 왕실과 관련해서도 생각할 거리를 우리에게 안겨 준다.



참고문헌


「백제 건국신화의 형성과 성립배경」,『백제연구』20,노명호,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1989.

「백제 시조전승 연구의 성과와 과제」,『한국학논총』34,문창로,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2010.

「백제 건국신화의 형성과정과 그 의미」,『한국고대사연구』39,박현숙,한국고대사학회,2005.

『백제정치사연구』, 노중국, 일조각, 1988.


관련 이미지

몽촌토성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i/view.do?levelId=ti_006_0020


관련 사이트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d/sg_023r_0020_0010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