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levelId=hm_013_0050


백제의 요서진출


百濟國, 本與高驪俱在遼東之東千餘里. 其後高驪略有遼東, 百濟略有遼西. 百濟所治, 謂之晋平郡晋平縣.


『宋書』卷97, 「列傳」57, 百濟傳


其國本與句驪在遼東之東. 晉世句驪旣略有遼東, 百濟亦據有遼西⋅晉平二郡地矣, 自置百濟郡.


『梁書』卷54, 「列傳」48 百濟傳


是歲, 魏虜又發騎數十萬攻百濟, 入其界, 牟大遣將沙法名⋅贊首流⋅解禮昆⋅木干那率衆襲擊虜軍, 大破之.


建武二年, 牟大遣使上表曰. 臣自昔受封, 世被朝榮, 忝荷節鉞, 剋攘列辟. 往姐瑾等竝蒙光除, 臣庶咸泰. 去庚午年, 獫狁弗悛, 擧兵深逼. 臣遣沙法名等領軍逆討, 宵襲霆擊, 匈梨張惶, 崩若海蕩. 乘奔追斬, 僵尸丹野. 由是摧其銳氣, 鯨暴韜凶. 今邦宇謐靜, 實名等之略, 尋其功勳, 宜在襃顯. 今假沙法名行征虜將軍邁羅王, 賛首流爲行安國將軍辟中王, 解禮昆爲行武威將軍弗中侯, 木干那前有軍功, 又拔臺舫, 爲行廣威將軍面中侯. 伏願天恩特愍聽除.


『南齊書』卷58, 「列傳」39, 百濟傳



백제국은 본래 고려(高驪)와 더불어 요동(遼東)의 동쪽 1000여 리 밖에 있었다. 그 후 고려는 요동을, 백제는 요서(遼西)를 경략하여 차지하였다. 백제가 통치한 곳은 진평군(晋平郡) 진평현(晋平縣)이라 한다.


『송서』권97, 「열전」57, 백제전


그 나라는 본래 구려(句驪)와 더불어 요동(遼東)의 동쪽에 있었다. 진(晉)나라 때에 이르러 (고)구려가 이미 요동을 경략하자, 백제 역시 요서(遼西)⋅진평(晉平) 두 군(郡)의 땅을 점거하여 스스로 백제군(百濟郡)을 설치하였다.


『양서』권54, 「열전」48 백제전


이 해에 위(魏) 오랑캐가 또다시 기병(騎兵) 수십만을 동원하여 백제를 공격하여 그 경계에 들어가니, 모대(牟大)가 장군 사법명(沙法名)⋅찬수류(賛首流)⋅해례곤(解禮昆)⋅목간나(木干那)를 파견하여 무리를 거느리고 오랑캐군을 기습 공격하여 그들을 크게 무찔렀다.


건무(建武) 2년(495, 백제 동성왕 17년)에 모대가 사신을 보내 표문을 올려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신(臣)은 봉작(封爵)을 받은 이래 대대로 조정의 영예를 입었고, 더욱이 절부(節符)와 부월(斧鉞)을 받아 모든 변방을 평정하였습니다. 앞서 저근(姐瑾) 등이 모두 영광스러운 관작을 제수받아 신민이 함께 기뻐하였습니다. 지난 경오년(庚午年)에는 험윤(獫狁)이 잘못을 뉘우치지 않고 군사를 일으켜 깊숙이 쳐들어 왔습니다. 신이 사법명 등을 파견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역습하게 하여 밤에 번개처럼 기습 공격하니, 흉리(匈梨)가 당황하여 마치 바닷물이 들끓듯 붕괴되었습니다. 이 기회를 타서 쫓아가 베니 시체가 들을 붉게 했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그 예기(銳氣)가 꺾여 고래처럼 사납던 것이 그 흉포함을 감추었습니다. 지금 천하가 조용해진 것은 실상 (사법)명 등의 꾀이오니 그 공훈을 찾아 마땅히 표창해 주어야 할 것입니다. 이제 사법명을 가행정로장군(假行征虜將軍) 매라왕(邁羅王)으로, 찬수류를 가행안국장군(假行安國將軍) 벽중왕(辟中王)으로, 해례곤을 가행무위장군(假行武威將軍) 불중후(弗中侯)로 삼고, 목간나는 과거에 군공(軍功)이 있는 데다 또 성문과 선박을 때려 부수었으므로 행광위장군(行廣威將軍) 면중후(面中侯)로 삼았습니다. 엎드려 바라옵건대 천은(天恩)을 베푸시어 특별히 관작을 제수하여 주십시오”라고 하였다.


『남제서』권58, 「열전」39, 백제전



이 사료들은 백제가 특정 시기 중국 요서(遼西) 지방에 진출하였다는 사실을 전하는 기사로, 백제의 대륙 진출과 관련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다. 백제의 요서 진출에 대한 사료는 한국 측 사서에서는 보이지 않고 중국 측 사서, 그 중에서도 남조(南朝) 계통의 사서들에서만 전한다. 이 사료적 특징과 사실성 여부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그 전하는 내용이 매우 소략하여 구체적인 시기와 동기, 내용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백제의 요서 진출에 대해서는 긍정론과 부정론이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다. 백제가 아닌 마한(馬韓), 부여(夫餘), 낙랑(樂浪) 등 다른 세력이 요서 경략의 주체였다는 견해도 있다.


백제의 요서 경략에 대해 한진서(韓鎭書), 나카 미치요[那珂通世],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 이기백, 이기동 등은 부정적인 입장이다. 요서 지역은 백제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 있어 이곳에 많은 군대를 한꺼번에 파견해야 하는데, 당시 백제의 상황으로 볼 때 전함과 항해술이 뛰어나지 못해 어려운 일이라는 것이다. 또한 당시 요서 지방의 상황을 볼 때 백제 진출은 사실상 어렵다는 주장도 있다. 요서 지역은 3세기 말부터 모용부(慕容部)와 단부(段部) 등이 자리 잡고 있었으며, 4세기 전반에는 전연(前燕)이 있었고, 380년대 중반 다시 후연(後燕)이 자리하였다. 이후 438년 무렵에는 북위(北魏)에 지배권이 넘어갔다. 요서 지역을 장악하였던 이들 국가들은 모두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백제가 이들 영역을 침략하여 군(郡)을 설치했다고 보기 힘들다는 주장인 것이다.


또한 백제의 요서 진출을 전하는 기록이 모두 남조 측 사료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점 역시 요서 진출설을 부정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되고 있다. 즉, 백제가 진출한 요서 지역은 모두 북조(北朝)의 영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북조계 사료에는 보이지 않고 오히려 요서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남조계 사료에만 거론된다는 것은 어떤 착오에 의한 결과라는 것이다. 또한 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양직공도(梁職貢圖)』에 따르면 요서 진출의 주체가 백제가 아닌 ‘낙랑’이라고 적혀 있다. 이에 따라 요서 지역 진출에 대해 백제의 진출을 부정하고 다른 세력, 그 중에서도 낙랑이라는 의견도 있는데, 이때의 낙랑은 4세기 전반 고구려의 압력으로 요서 지역의 모용씨 세력에게 귀부한 낙랑군 세력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이러한 부정론에 대해 긍정론을 피력한 사람은 신경준(申景濬, 1712~1781), 신채호(申采浩, 1880~1936), 김상기, 김철준, 이노우에 히데오[井上秀雄] 등이다. 이들은 중국 측 사료들에 전하는 관련 사실이 비교적 명확하게 기술된 만큼 이 사료를 그대로 인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중국 북조계 사서에서 이 서술들이 누락된 것은 북조계 사관들이 이를 수치스럽게 생각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부정론자들이 말하는 바와는 달리 4세기 이후 중국 대륙은 5호16국 시대로 혼란기였고, 백제는 근초고왕(近肖古王, 재위 346~375) 대에 평양성까지 진출할 정도로 강성하였음을 생각할 때, 이 지역에 대한 진출이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백제의 중국 지방 진출은 인정하면서도 실제로는 요서 지방을 영유한 것이 아니라 화북(華北) 지방에 진출했던 것이며, 이는 중국의 사민정책(徙民政策)과 관련한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백제의 요서 지역 진출과 관련하여 이와 같이 많은 이견이 존재하는 것은 결국 이 일을 전하는 사료가 충분하지 않고, 연구자들이 자신의 논지에 유리한 것들을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사료를 수용하여 결론을 내린 결과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당시의 정세를 객관적으로 검토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4세기 백제의 요서 지역 진출과 그 배경」,『한국고대사연구』30,강종훈,한국고대사학회,2003.

「백제의 요서진출설 재검토」,『진단학보』91,여호규,진단학회,2001.

「백제약유요서(百濟略有遼西) 기사의 분석」,『백제연구』20,유원재,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1989.

「요서지역 진출」, 강종훈, 충남역사문화연구원 편, 2008.


관련 사이트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d/jo_006r_0010_0020_0010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