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d/NAHF.ku.d_0001_0130_0020_0040


성자산산성; 양천자산성(城子山山城; 凉泉子山城)


형태사항

전체 둘레 4,393.4m(성문과 수구문 너비 미포함), 천연성벽(초벽장) 길이 322.8m, 인공성벽 길이 4,070.6m

동서 길이 1,350m, 남북 길이 975m, 둘레 4,409m(풍영겸 1994)

동서 길이 1,350m, 남북 너비 875m(국가문물국 2009) 2점 

 

출토지 : 요녕성 서풍현 양천진 성자산(遼寧省 西豊縣 凉泉鎭 城子山)


연대

초축 시기는 4세기 중반 전후한 시기(여호규 1999)

고구려, 요~금 시대(국가문물국 2009)

6세기 말~7세기 전반(주향영 2009)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63 1963년 9월 30일 요녕성 문물보호단위로 지점됨.
1973요녕성문물조사대
(遼寧省文物調査隊)
1073년 5월 요녕성 문물조사대에서 조사한 적이 있음.
1991철령시, 서풍현문물관리소
(鐵嶺市, 西豊縣文物管理所)
철령시와 서풍현 문물관리소의 주향영(周向永), 조수리(趙守利), 형걸(邢傑) 등이 1970년대의 조사를 바탕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하였음.(周向永·趙守利·邢傑, 1993 「西豊城子山山城」『遼海文物學刊』1993-2).
1993 1993년 10월 5-7일에 맹상충(孟祥忠) 등과 서풍현 문물관리소의 조수리(趙守利), 형걸(邢傑) 등이 성자산산성 서남쪽의 토벽을 조사하였음(孟祥忠, 1993 「西豊城子山山城考」『瀋陽文物』1993-2).
2007~2008요녕성문물고고연구소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서문, 수구문, 망대 등을 발굴조사하였음(周向永, 2009 「西豊城子山山城始建年代再考」『東北史地』2009-02), (周向永·許超, 2010 『鐵嶺的考古與歷史』 遼海出版社).

 


구조특징

 

성자산산성은 동서가 약간 길고 남북이 좁은 불규칙한 타원형을 띰. 성자산산성 동측의 주봉은 해발 760.3m이며 성내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임. 주봉에서 남북방향으로 양측에 각각 산줄기(지맥)가 뻗어 있는데 반고리 모양(半環狀)을 띠며 주봉 서측에서 만나 골짜기 입구(谷口)를 형성함. 산성은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으며 산등성이 안팎의 경사면은 모두 가파르며, 남벽과 북벽의 안쪽면은 비교적 완만함. 평지는 전체 규모에 비해 협소함. 주봉에서 골짜기 입구까지 동서간 거리는 약 1,500m, 양측 산줄기의 남북간 거리는 800~900m. 산성의 전체 둘레는 4393.4m(성문과 수구문의 너비는 미포함)이고, 그 중에 천연성벽(초벽장)의 길이는 322.8m, 인공성벽 길이는 4070.6m임. 동서 길이 1,350m, 남북 길이 975m, 둘레 4,409m(풍영겸, 1994)이라는 측정치와 동서 길이 1,350m, 남북 너비 875m(국가문물국, 2009)라는 측정치가 있음. 산성은 성벽, 성문, 수문, 망대, 외위성 등 몇 부분으로 나뉘어짐.


산성의 성벽은 모두 석축이며, 산등성이를 따라 축조하였으며 기복이 완연함. 벽체는 천연성벽(초벽장)과 결합하는 곳이 모두 10부분으로 견고하며, 오랜 시간이 지난 오늘까지도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음. 성벽(석벽)은 산세가 뻗어나간 방향을 따라 축조하였는데, 어떤 것은 산등성이에, 어떤 것은 산등성이 외측에 축조하였으며, 어떤 성벽은 자연 산세를 이용하여 초벽장을 병풍으로 삼았으며, 어떤 것은 천연 석벽 위에 석벽을 증축하였으며, 초벽장 사이의 빈 틈에도 전부 성돌을 쌓아 벽체와 초벽장이 마치 개 이빨처럼 서로 맞물려 있어 빈틈이 조금도 없음. 성벽의 보존 상태는 대부분 완전하며, 다만 일부분 성벽상에 수목이 자라서 파괴된 부분이 있음. 수문의 외벽 표면은 부근 주민들이 채취해가서 파손되었음. 보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성벽 구간은 남벽 중간 구간, 서벽 남쪽 구간과 중간 구간, 북벽의 중간 구간과 서쪽 구간, 동벽의 남쪽 구간임. 성벽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안쪽이 낮고 바깥쪽이 높은데 지세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성벽의 높이가 균일하지 않음. 이는 방어에 편리함. 외벽의 높이는 최저 1.3m에서 최고 5m에 달함. 성벽의 두께는 평균 0.8-1.5m 사이임. 성문, 수구문(水門) 외벽은 약간 두터움.


파괴된 성벽의 단면을 관찰하면, 석벽의 내외벽 표면은 비교적 잘 다듬은 방형 혹은 장방형의 석괴를 쌓아 만들었음. 성돌은 바깥 면만 약간 다듬었으며, 바깥쪽이 크고 안쪽이 작은 쐐기형돌(楔形石)임. 벽체 중간은 불규칙하게 다듬은 깬돌(잔돌, 할석)로 채웠으며, 층단 엇물림식 축조방법(干揷的方法)을 채용하여 석벽이 일체가 되도록 견고하게 축조하였음. 성벽의 단면은 사다리꼴(梯形)이며, 기초는 너비는 평균 2-3m임. 성벽의 장력(拉拉力)을 강화하기 위해 초벽장(천연성벽) 부근의 험준한 곳에 길쭉한 돌(長條拉結石)을 설치하여 벽체를 견고하게 만들었음. 이러한 종류의 설치물은 서문에서 수구문 사이의 성벽 구간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


서풍 성자산산성 내에 골짜기(溝谷)가 종횡하고 평지는 매우 적어서, 모두 성안의 완만한 산비탈 혹은 지대가 낮고 움푹 패인 곳에 제언(攔水壩), 저수지, 건물지, 흙 구덩이(土坑), 산길(盤道) 등의 유적이 있음. 성 내에서 5곳, 성 바깥에서 1곳 등 모두 6개의 건물지를 발견하였음.


 

역사적 의미

 

고구려 부여성설[이문신(李文信)·풍영겸(馮永謙), 1994]이 있음.


군사방어성 및 지방지배의 거점 기능설이 있음. 성자산산성 주성은 총 둘레 4㎞ 이상인 대형산성이지만 내부에는 평지가 아주 협소하며, 안쪽 산비탈도 매우 가파르기 때문에 주거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힘듦.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산성 서쪽에 대동구(大東溝)와 성자구(城子溝)골짜기를 감싼 5㎞에 달하는 외위성(外圍城)을 축조한 것으로 추정됨. 그러나 외위성은 석성(石城)인 본성과 달리 토성으로서 본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축조되었다고 추정됨. 즉 성자산산성은 처음에는 군사방어성으로 구축되었다가 나중에 지방지배를 위한 거점성의 기능을 보완하였던 것임. 따라서 서풍 성자산산성은 요하 상류일대의 다른 고구려산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에 축조되었고, 처음에는 주로 군사방어성의 기능을 수행하였다고 추정됨. 


입지조건이나 축성법 등이 성자산산성과 가장 유사한 철령 최진보산성의 지리적 위치를 살펴보면, 범하 북안에 위치한 최진보산성은 성자산산성처럼 압록강 중류일대에서 혼하 하류의 요동평원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요하 상류일대로 진출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함. 즉 요하 상류일대의 고구려산성이 대체로 송료대평원에서 지류 연안으로 진입하는 길목을 방어하기 위해 구축된 반면, 성자산산성은 최진보산성과 함께 압록강 중류일대에서 휘발하(輝發河)나 혼하 상류를 거쳐 곧바로 요하 상류로 나아가는 전략적 요충지를 장악하기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임. 이처럼 성자산산성과 최진보산성이 고구려가 이 지역으로 진출한 초기 단계에 축조되었다면, 요하 지류 연안 길목에 위치한 다른 고구려산성들은 고구려가 이 일대에 대한 지배권을 어느 정도 다진 단계에서 구축되었다고 추정됨. 성자산산성과 최진보산성의 입지조건이나 축성법이 압록강 중류일대의 고구려 초기 산성과 유사한 반면, 다른 고구려산성은 이들과 뚜렷이 구별된다는 점은 이를 반영함. 


그리고 성자산산성이나 최진보산성은 진출 초기에 축조되었기 때문에 군사방어적 기능이 가장 먼저 고려되었을 것임. 두 산성이 다른 산성과 달리 험준한 산줄기 내부에 위치하였으며, 특히 성자산산성은 집안 패왕조산성(覇王朝山城)처럼 골짜기로 깊숙이 들어온 다음 산성 입구로 진입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이를 반영함. 따라서 성자산산성은 4세기 중반을 전후한 시기에 군사방어성으로 구축되었다가, 고구려가 이 일대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다진 단계에서 지방지배를 위한 거점성으로서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 외위성을 축조하였다고 추정됨(여호규, 1999). 


2007~2008년 조사시에 서문 남측 성벽 하단의 성돌을 채워 넣어 높은 곳에서 고구려 기와를 대량으로 발견하였는데, 주로 성벽의 기초부에서 집중 출토됨. 이로보아 고구려 시기 이후에 혼입되었을 가능성은 없고 성벽 축조 당시에 혼입된 것으로 파악됨. 또한 서문 안쪽의 북측 옹성벽을 발굴할 때는 성벽 아래에서 요대의 회색 포문 기와편이 대량으로 출토됨. 이로보아 옹성의 구조는 요·금대에 중건한 것으로 판단됨. 그동안 성자산산성에서는 완형 와당 1건, 와당 잔편 20건이 출토되었는데, 모두 6판 연화문와당으로 그 중 3개는 반원형 연잎이고, 그 사이에 삼각유돌형(三角乳突形) 연꽃 3개를 배치하고, 연잎과 연꽃 사이에는 ‘Y’자형 꽃술(蓮蕊) 6개를 배치하였음. 이러한 와당은 늦은 시기의 것으로 발해 와당과도 상당히 유사함. 또한 망대(5호 건물지)도 본대(本臺)에 계단을 설치한 감필법(嵌筆法) 축조방식보다 늦은 것임. 이로 보아 성자산산성의 초축시기는 6세기 말~7세기 전반으로 파악되며, 천리장성의 기점인 부여성으로 비정됨(주향영, 2009).


 

자연환경

 

요녕성 서풍현 양천진에서 남쪽으로 7.5㎞ 떨어진 성자산에 위치함. 서북쪽 58㎞ 거리에 서풍현 소재지가 있음. 성자구(城子溝) 골짜기 입구에는 사슴농장이 있으며, 골짜기를 따라 남쪽으로 2㎞ 정도 가면 성자산산성의 서쪽 입구가 나옴. 그리고 골짜기에 개설된 지방도로를 따라 남쪽으로 가면 개원시(開原市) 임풍향(林豊鄕)을 거쳐 팔과수향(八棵樹鄕) 고성자(古城子)산성으로 나아갈 수 있음. 성자산산성은 하천 연안로를 따라 청하(淸河) 유역, 북쪽으로 구하(寇河), 남쪽으로 시하(柴河)·범하(汎河) 일대까지 나아갈 수 있음. 특히 연반하(碾盤河) 상류쪽으로는 길림합달령(吉林哈達嶺)산맥을 넘어 휘발하(輝發河)·혼하(渾河)의 분수령 일대로 진입 가능함. 성자산산성은 비록 험준한 산줄기에 자리잡고 있지만, 하천 연안로를 통해 사방으로 나아갈 수 있는 교통로상의 요충지임.


성자산산성이 자리한 곳은 청하(淸河)의 지류인 연반하(碾盤河) 중류 연안임. 성자산산성의 북쪽을 지나가는 연반하 중류 연안에는 폭 1-2㎞, 길이 수십 ㎞의 충적평지가 하천을 따라 길게 펼쳐져 있으며, 이 충적평지는 하류방면으로 청하 연안으로 이어지며, 상류로는 발원지 직전까지 펼쳐져 있음. 산성의 동·남·서 삼면으로는 험준한 산줄기가 이어짐. 산성의 동쪽과 서쪽에는 유수천(楡樹川)과 성자구(城子溝)라는 골짜기가 남북방향으로 길게 놓여 있고, 골짜기 안에는 계절성 하천이 북류하여 연반하로 흘러들고 있음. 성자구 건너편에는 18개의 작은 봉우리로 이어진 산등성이가 남북으로 기다랗게 뻗어있음. 산성이 자리 잡은 성자산은 해발 760.3m로 상당히 험준함.


 

유물정보

평기와(平瓦) 4점, 와당(瓦當) 2점


 

참고문헌

 

· 陳大爲, 「遼寧高句麗山城初探」『中國考古學會第五次年會論文集』, 文物出版社, 1988

· 吳長山, 「西豊城子山山城」『遼寧大學學報』 1989-4, 1989

· 周向永·趙守利·邢傑, 「西豊城子山山城」『遼海文物學刊』 1993-2, 1993

· 孟祥忠·潘國慶·鄭淑雲, 「西豊城子山山城考」『瀋陽文物』 1993-2, 1993

· 王禹浪·王宏北,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 (上), 합이빈출판사, 1994

· 曹桂林·王鐵軍, 「鐵嶺境內五座高句麗山城簡介」『遼海文物學刊』 1994-2, 1994

· 李殿福(車勇杰·金仁經 譯), 『中國內의 高句麗遺蹟』, 學硏文化社, 1994

· 辛占山, 「遼寧境內高句麗城址的考察」『遼海文物學刊』 1994-2, 1994

· 辛占山, 「遼寧境內高句麗城址的考察」『中國考古集成』 東北卷 兩晉至隋唐(二), 北京出版社, 1996

· 孫力, 「遼寧的高句麗山城及其意義」『高句麗渤海硏究集成』 高句麗 卷(三), 哈爾濱出版社, 1994

· 馮永謙, 「高句麗城址輯要」『北方史地硏究』, 中州古籍出版社, 1994

· 陳大爲, 「遼寧高句麗山城再探」『北方文物』 1995-3, 1995

· 李健才, 「再論唐代高麗的扶餘城和千里長城」『北方文物』 2000-1, 2000

· 王綿厚,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2002

· 李龍彬, 「鐵嶺境內高句麗山城的幾個問題」『東北史地』 2008-4, 2008

· 趙俊傑, 「試論高句麗山城城墻上石洞的功能」『博物館硏究』 2008-1, 2008

· 周向永, 「西豊城子山山城始建年代再考」『東北史地』 2009-2, 2009

· 國家文物局,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 西安地圖出版社, 2009

· 鄭元喆, 「高句麗山城甕城的類型」『博物館硏究』 2009-3, 2009

· 周向永·許超, 『鐵嶺的考古與歷史』, 遼海出版社, 2010

· 周向永, 「西豊城子山·鐵嶺催陣堡兩山城中戍卒營地的相關問題」『東北史地』 2011-1, 2011

· 魏存成, 「中國境內發現的高句麗山城」『社會科學戰線』 2011-1, 2011


서풍 성자산산성 위치도 1


서풍 성자산산성 위치도 2


서풍 성자산산성 주변 지형도


서풍 성자산산성 평면도


서풍 성자산산성 성벽 단면도


서풍 성자산산성 서문 평단면도


서풍 성자산산성 북벽 요망대 평단면도


서풍 성자산산성 외위성과 외곽토벽의 평면도


서풍 성자산산성 저수지 평단면도


서풍 성자산산성 제언 평단면도



관련글

서풍 성자산산성  https://tadream.tistory.com/32074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