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v.daum.net/v/20220825204805469
전범기업 마크가 교표?..학교에 남은 일본 잔재
임상범 기자입력 2022.08.25. 20:48
<앵커>
올해가 광복 77주년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일부 학교에 일제시대의 잔재가 남아있습니다. 전범기업의 이름을 그대로 따 오거나, 학교의 상징에 욱일기 이미지를 쓴 곳도 있습니다.
임상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교문 주위로 학교명과 교표가 여기저기 새겨져 있습니다.
한자로 석 삼에 우물 정, 즉 '삼정', 일본어로 읽으면 미쓰이.
조선인 강제징용으로 악명 높았던 대표적인 일제 전범 기업 미쓰이의 회사명과 표식을 그대로 따왔습니다.
[학교측 : 교장 선생님도 고민을 하고 계신 부분이에요. 이게 그냥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게 아니라 학생들하고 토론도 해야 되고, 학부모 설문도 받아야 되고, 그 다음에 학교 운영위원회 심의도 받아야 되고.]
일제는 1937년 학교 상징을 일본식으로 바꾸라는 이른바 교표 개정령을 발표합니다.
창 씨 개명, 한글 사용 금지와 함께 민족 말살 정책의 일환이었습니다.
[한시준/독립기념관장 : 민족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은 혈통이고 그 다음에 언어고 문화죠. 가장 근본적인 목적이 한국 사람들을 일본 민족으로 만들려고 했던 거 아니에요?]
광복 직후 바로 고치지 못한 것도 문제지만 더 심각한 건 광복 한참 뒤에 개교했으면서도 일본식 교표를 채택한 학교가 적지 않다는 겁니다.
취재진이 점검해보니 욱일기와 일장기는 물론, 일본 기관이나 기업의 이미지에서 따온 일본식 교표가 전국에 부지기수입니다.
[방학진/민족문제연구소 기획실장 : 초,중,고등학교가 한 1만 개쯤 되는데 전수 조사라든지 (지금껏) 어떤 개선 캠페인도 벌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경각심을 갖고 다시 살펴봐야 될 필요가 있습니다.]
실수든 무의식이든 교육 현장에 남아 있는 일제 잔재부터 바로 잡으려는 노력이야말로 광복 77주년을 맞는 우리의 바른 자세입니다.
(영상취재 : 이재영·신동환, 작가 : 이세미, 영상편집 : 김인선, CG : 서현중)
임상범 기자doongle@sbs.co.kr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어준의 뉴스공장] “욕설 대신 풀벌레 소리 들리는 일상” 문재인 전 대통령 양산사저 경호구역 확대(신한균) - TBS (1) | 2022.08.26 |
---|---|
"가져갈 것도 없는데 압수수색... 김건희씨가 속이 탔겠죠" - 오마이뉴스 (0) | 2022.08.25 |
13년 만에 해외 원전, "10기 수출" 내세웠지만 불투명한 미래 - MBC (0) | 2022.08.25 |
윤 대통령 장모 '잔고증명서 위조' 판결 뒤집혀.."불법행위 방조" - JTBC (0) | 2022.08.25 |
[팩트체크] 대통령 취임식 초청 명단 파기는 위법? - 연합 (0) | 202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