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제2수사단 인사명령 통상과 달라”…노상원이 관여했나
강재구,정혜민,배지현,곽진산 기자 수정 2025-02-20 17:58 등록 2025-02-20 17:49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지난달 24일 아침 서울 은평구 서울서부경찰서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송치되고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지난달 24일 아침 서울 은평구 서울서부경찰서에서 서울중앙지검으로 송치되고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검찰이 12·3 비상계엄 당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직접 제2수사단 인사명령을 작성·검토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국방부 관계자의 진술을 확보했다. 제 2수사단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인사 체포 및 부정선거 의혹 수사를 맡은 곳이다. 앞서 내란의 ‘비선 핵심’으로 꼽히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제2수사단 주요 간부에 내정된 이들 다수와 ‘롯데리아 회동’을 통해 계엄을 사전 논의한 사실도 확인된 상황이어서, 노 전 사령관이 제2수사단 인사명령에까지 관여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20일 한겨레 취재결과,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본부장 박세현 고검장)는 오영대 국방부 인사기획관으로부터 비상계엄 당일 김 전 장관으로부터 받은 제2수사단 관련 ‘국방부 인사명령’ 문건이 통상적인 인사명령과 완전히 달랐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오 기획관은 “(통상 인사명령은) 장군이면 장군, 준위면 준위 등 계급을 구분해 인사명령을 내리는데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인사명령을 내는 게 이해할 수 없었다”며 “(인사 대상자의) 소속과 군번도 없어서 일일이 대조를 하며 찾았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오 기획관은 “(해당 문건은) 김 전 장관이 작성한 게 아니고, 제대로 검토를 하지 않은 것 같다”고 덧붙였다고 한다.
 
‘국방부 인사명령’은 제2수사단 구성이 적인 문건으로, 김 전 장관이 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해 12월3일 밤10시45분께 오 기획관을 불러 건네며 “이대로 인사명령을 내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국방부 일반명령’이라는 제목이 붙은 해당 문건엔 제2수사단 단장과 부단장, 수사1·2·3부 부장 인사가 적혔고, 각 수사 부서별로 소속될 정보사 요원 20명의 이름이 적혀 있었다.
 
계급별로 인사 대상자의 인사 이동내용과 군번·소속을 적는 기존의 국방부 인사명령 형식과는 완전히 달랐다는 것이다.
 
또한 해당 문건엔 ‘지원사항’ 항목 아래 ‘국방부 조사본부에 차량 지원’ ‘수갑 준비’ 등 인사명령과 무관한 내용도 적혀 있었다. 오 기획관은 “(지원사항 부분은) 인사명령에선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육사를 나와 중장까지 역임한 국방부 장관이 ‘지원사항’ 같은 기재가 인사명령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검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 기획관은 “차량 지원 등은 군수 쪽 업무다. 김 전 장관도 이러한 사정을 알고 있기 때문에 김 전 장관이 해당 문서를 작성했을 리 없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오 기획관은 계엄 당일에도 김 전 장관에게 건네준 문건으론 인사명령이 불가능하다고 보고했고, 김 전 장관 역시 이를 수용해 실제 인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강재구 기자 j9@hani.co.kr 정혜민 기자 jhm@hani.co.kr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 곽진산 기자 kjs@hani.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