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hani.co.kr/section-001006000/2004/03/001006000200403152009442.html

고구려 왕·관직명 한국사 증명
편집 2004.03.15(월) 20:09

고구려사를 자국사에 귀속하려는 중국의 움직임과 이에 반발하는 한국 학계와 시민사회의 대응이 뜨겁다. 이런 가운데 국어 사학자인 도수희 충남대 명예교수가 고대 한국어 어원을 통해 고구려사가 우리 역사임을 방증할 수 있다고 주장해 주목된다. 도 교수가 보내온 기고문 2편을 줄여 싣는다.
 


주몽 성씨 '해' 부여왕과 일치
삼국시대 왕명에도 고루 스며
지명 '홀' '나'도 감국에 계승
언어 공통점이 역사뿌리 반영
 
언어와 역사는 손등과 손바닥의 관계처럼 밀접하다. 역사적 사실은 언어로 남게 되고 언어 또한 그 역사에다 흔적을 남기기 때문이다. 역사는 잊어버린 언어를 찾게 하고 반대로 언어가 역사적 문제의 열쇠가 되어주기도 한다. 그러므로 고구려어와 고구려사는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이다.

언어 중에서도 성명과 관직명은 역사 문제를 푸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역사를 주도한 왕의 성명은 민족의 계통과 역사를 밝히는 길라잡이가 되어 줄 수 있고 관직명 또한 이웃 나라와의 상관성을 가리는데 증거자료가 될 수 있다. 만일 고구려 왕의 성명과 관직명이 신라 및 백제의 그 것들과 닮은꼴이고 중국의 그것과는 전혀 무관하다면 고구려사는 자동적으로 한국사에 해당하게 된다. 백제사와 신라사가 틀림없는 한국사이기 때문에 이 두 나라와 삼국정립으로 결속되어 있는 고구려사 역시 한국사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음에서 광개토대왕비문과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세 나라 왕의 성명과 관직명을 비교하여 객관적인 결론에 도달하고자 한다.

광개토대왕비문(414)에 고구려 시조 주몽이 북부여 왕 해모수의 아들이라 명기되어 있다. 이 사실이 삼국사기(1145)와 삼국유사에도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다. 고구려는 건국 후 오래지 않아 동부여를 통합하였으니 고구려사는 곧 부여사의 연장임에 틀림없다. 주몽이 부여출신이기 때문에 삼국유사는 그의 본성이 해씨라 하였다. 후대의 왕성이 대해주류(대무신왕), 해색주(민중왕), 해애루(모본왕), 소해주류(소수림왕)(제3,4,5,17대)와 같이 해씨이니 의심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고구려의 뿌리는 부여에 박혀 있다. 더구나 고구려가 후에 동부여를 통합하였으니 부여를 승계한 나라임이 분명하다. 부여의 다른 지파인 백제도 왕성이 해씨 또는 부여씨라 하였다. 백제의 성왕이 공주에서 부여로 서울을 옮기면서 백제의 뿌리를 찾아 국호를 남부여라 고쳤다. 남부여는 “남쪽에 있는 부여”란 뜻으로 백제의 근원이 북부여임을 밝힌 새로운 국호이다. 이처럼 고구려와 백제는 역사적인 뿌리가 부여국에 박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부여와 고구려의 왕성 ‘해’씨는 태양의 뜻이다. 그 말이 오늘날까지 여전히 쓰이고 있다. 그런데 이 ‘햇빛’(日光)의 의미가 삼국의 왕명에 고루 들어 있다. 신라 시조 박혁거세를 고유어로 ‘누리’(밝은누리)라 불렀다. 그런데 고구려 시조명이 동명(東明)이고, 그 아들의 이름이 유리명(琉璃明)이다. ‘동명’은 고구려 말로 ‘새’이며, ‘유리명’은 ‘누리’이다. 두 나라 초기의 왕명에 ‘’(赫,明)이 동일하게 들어 있다. 뿐만 아니라 고구려어 ‘누리’(유리왕)가 신라 시조명인 ‘내(<누리)’의 ‘내’(世)를 비롯하여 제3대 왕 ‘누리’(儒理=世里)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초기 왕명의 동질성 ‘햇빛=’(赫,明,昭,昌)이 이어져 고구려의 문자명왕(文咨明)과 명리호왕(明理好), 신라의 명지왕(明之=신문왕)과 비지왕(昭知~毗處), 백제의 성명왕(聖明~明穠)과 창왕(昌)처럼 후대의 왕명 속에 들어 있다. 신라 시조 ‘누리’와 고구려 제2대 왕명 ‘누리’를 비교하여 보면 어형성에 참여한 어소들은 동일한데 참여의 순서만 바뀐 차이를 보일 뿐이다. 이렇게 참여 순서의 차이만 있을 뿐 어형성의 형태소와 그 어의가 거의 완벽하리만큼 동일한 어휘가 신라의 시조와 제 3대왕, 고구려의 시조와 제 2대왕의 이름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은 결코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이렇게 ‘해빛’(日光)을 작명의 소재로 하였을 뿐만 아니라 ‘누리’(世), ‘비류’(沸流江), 온조(온세상), ‘주몽ㆍ활보’(명사수), ‘뱀보’(뱀처럼김), 거칠부(荒宗) 등과 같이 자연현상이나 사람의 기능을 소재로 작명한 공통점이 있다. 고구려 고국원왕(제16대)의 이름이 쇠(斯由~劉)인데 이것은 신라 진지왕의 이름 쇠돌이(舍輪~金輪)의 ‘쇠’와 같다. 그리고 부여왕 ‘해부루’를 비롯하여 고구려 ‘해애루, 삽실루, 모두루, 미구루, 해루’와 백제 ‘다루, 긔루, 개루, 근개루’ 등에서 돌림자로 추정되는 ‘루’(婁)를 발견한다. 이렇게 세 나라는 왕명을 우리의 고유어로 부른 공통점이 있다. 이는 중국과 극명하게 다른 세 나라만의 특징적인 공통점이다.

백제어로 왕을 어라하(於羅瑕), 건길지(鞬吉支)라 존칭하였다. 그런데 고구려어로는 ‘개~해’(諧)라 불렀다. 중국 위서에 유리명왕이 노려해(奴閭諧)로 적혀 이써서 알 수 있다. 이 해는 백제어 '어라하'의 '하'와 일치한다. 삼국사기(지리2)의 지명에서도 왕의 뜻인 ‘개’(皆)가 여럿 발견된다. 이 '개'는 '상가, 고추가, 소노가'와 같이 관직명에 접미되어 있다. 이 '가, 하'가 신라의 '거서간, 마립간, 각간'의 ‘간’(干)과 일치한다. 서로가 ‘ㄴ'의 유무만 다를 뿐이다. 그리고 고구려의 '莫離支'와 백제의 '鞬吉支'는 '支'가 일치하며 '莫離'[mari]는 신라의 '麻立[mari](干)'과 일치한다. 그러나 고구려에서 쓰인 관직명의 접미사인 '加, 支'가 백제에서는 왕칭어로 ’하, 지‘가 쓰일 뿐이었다. 이런 왕칭호의 동질성은 세 나라 역사가 한(韓)민족사에 귀일(歸一)함을 입증하는 단서이다.

삼국의 전기 시대에 고구려 신라 백제의 최고관직은 ‘대보, 좌보, 우보’(大輔, 左輔, 右輔) 등과 같이 ‘보’를 사용하였다. 이 ‘보’가 후대에는 고구려의 상부(相夫=봉상왕), 구부(丘夫=소수림왕), 중외대부(中畏大夫차대왕2년) 명림답부(明臨荅夫) 등과 같이 ‘부’(夫)로 변하였다. 이것은 신라에서도 심맥부(深麥宗=진흥왕), 이사부(苔宗), 거칠부(荒宗) 등과 같이 ‘부’로 변하였다. 이 ‘부’는 ‘’(宗)의 뜻인 고유어이다. 이것은 바보(溫達), 활보(弓福=장보고), 뱀보(蛇伏) 등의 ‘보’로도 변하였다. 이 ‘보/부'는 흥부, 놀부, 뚱보, 곰보, 울보 등처럼 인칭접미사로 현대어에까지 이어져 쓰이고 있다.

우리말의 존칭 접미사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지’(智,支)이다. 이것은 ‘신지(臣智), 근지(近支), 견지(遣支), 진지(秦支), 한지(旱支), 건길지’와 같이 마한어에서 쓰였다. 그런데 이 ‘지’는 보다 이른 시기의 고조선어 ‘긔(箕子), 긔준(箕準)’의 ‘/주(ㄴ)’에까지 소급된다. 이것이 고구려어 막리지, 어지지로 쓰였고, 백제어 건길지, 개(皆次)로 쓰였고, 신라어 박알지(朴閼智), 김알지, 누리지(世里智), 거칠부지로 쓰였고, 가라어 좌지(坐知), 탈지(脫知), 도설지로 쓰였다. 그 쓰인 빈도로 보면 고구려와 백제는 소극적인 편이었고 신라와 가라는 보다 적극적이었다. 고구려어, 백제어, 가라어는 주로 왕명이나 최고 관직명에 쓰였는데 신라어는 귀족에도 쓰이었고 심지어는 하위직에까지 쓰인 보편성을 보인다. 위 ‘마(ㄱ)리지’는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고구려의 최고 관직이며 ‘어지지’는 고구려의 고국원왕의 이름이다. 그리고 ‘건길지’와 ‘개지’(<개)는 백제의 왕에 대한 촌칭이다. 또한 신라 시조 ‘박알지거서한’(朴閼智居西干)과 ‘세리지니사금’(世里智尼師今)은 ‘지’가 어중에 끼어서 쓰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존칭접미사 ‘지’는 후대로 내려오면서 서서히 비칭(卑稱)으로 격하되기 시작하였다. 현대국어의 사용 예를 들면 ‘거지/거러지, 이치, 그치, 저치, 양아치’ 등과 같은 것들이다. 드디어 이 ‘지’(>치)는 인칭접미사의 제약에서 벗어나 ‘얼마치, 십원어치, 내일치, 속엣치, 골치’ 등과 같이 비인칭에까지 확대되었다.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 같이 초기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는 왕명을 짓는데 쓰인 소재가 동일하고 왕에 대한 촌칭접미어가 동일하며 나아가서 관직명도 거의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이런 언어적인 공통점은 결코 우연일치가 아니다. 한(韓)민족이 나뉘어 세운 세 나라임을 입증하는 근원적인 특징이다. 따라서 고구려사는 신라사 및 백제사와 마찬가지로 한국사에 속한다.

고구려 지명도 한국사 증명

지명은 좀체로 변화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지명은 무형 문화재이다. 가령 영토가 변하고 민족의 이동이나 침략으로 인하여 토착인의 세력이 점점 약화되어 결국에는 그 언어가 다른 언어로 치환(置換)된다 할지라도 그 곳의 토착 지명만은 변함없이 그대로 존속한다. 이 사실을 우리는 여러 나라의 토착 지명에서 얼마든지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지명은 역사에 대한 증거력이 매우 강하다고 역설할 수 있다.

바벨탑의 고장이었던 '바빌론'('이스타르 여신'의 문장식(2400 B.C)이 발굴됨)을 비롯하여 아브라함의 고향인 '우르'(은사자머리'(2650-2550 B.C)가 발굴됨)와 '우르크'(3.6m높이 석조전(3600B.C)이 잔존함), 아수르 왕국의 '아수르' 등이 현재도 이라크의 지명으로 잔존하여 구약성서의 역사적 사실을 증언한다. 또한 소년 다윗이 골리앗을 무찌른 역사적 사건의 지명인 '엘라' 골짜기도 310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그대로 남아 당시의 사건을 증언한다. 동일 시기의 지명 '예루살렘, 베들레헴, 갈릴리, 요르단, 이스라엘' 등의 옛 지명들이 거의 변함없이 잔존하여 성경의 역사적 사건들을 말해준다. 또한 하와이 열도의 ‘Hawaii, Waikiki, Ohau, Honolulu’ 등은 본래에 미국영토가 아니었음을 증언한다. 이타리아에도 로마 제국 이전에 상륙하여 건설한 희랍의 식민 지명이 로마의 지명으로 바뀌지 않고 ‘Cuma, Napoli, Pompei, Sisiry’ 등과 같이 그대로 남아 있어 로마제국의 영토가 아니었음을 알려준다. 미국의 주명(State Names) 중 1/2이나 되는 인디안 지명도 그 곳이 인디안의 영토이었음을 증명한다. 우리의 경우도 함경도와 평안도 지역에 아직도 잔존하여 쓰이는 童巾(퉁권=鐘)山, 豆漫(투먼=萬)江, 雙介(쌍개=孔ㆍ穴)院, 斡合(워허=石), 羅端(라단=七)山, 回叱家(횟갸), 斡東(오동), 투魯(투루)江 등의 여진어 지명도 여진족이 활거하던 지역이었음을 증언한다.

위에서 열거한 바와 같은 지명의 특성으로 인하여 결과되는 상식을 뒤집을 만한 결정적인 이의가 제기될 수 없다면 이 원리가 고구려의 지명에도 적용되어 마땅하다. 그러면 고구려 지명의 특성은 어떠한가? 과연 그것이 중국적 특성인가 아니면 한국적 특성인가? 그 사실을 객관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가 고구려사를 객관적으로 판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국정립 시대에 고구려는 남 만주 일대(一帶)와 한반도 북역에, 백제는 한반도의 서남부에, 신라는 한반도의 동남부에 각각 위치한 독립국가이었음은 일찍이 공인된 역사적 사실이다. 이 세 나라는 중국과는 영토상의 아무런 관계도 없었던 한(韓)민족의 나라들이었다. 그 확실한 증거가 당시의 고구려 지명 속에 들어 있다.

『삼국사기』지리4의 끝 부분에 압록강 이북의 고구려 지명이 있다. 이 지명들은 뒤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당나라 고종 2년(669)에 영국공(英國公) 이적(李勣)이 칙명을 받들어 작성한 32개의 성명(城名)이다. 이 지명은 당나라 이적이 고구려의 막리지 천남생과 상의하여 작성하였기 때문에 국제적인 공신력이 있다. 이 지명에서 ‘내물홀’(乃勿忽>鉛城), 적리홀(赤里忽>積利城) 등과 같이 城을 고구려어로 ‘홀'(忽)이라 하였다. 중국 역사서에 고구려가 ’구루ㆍ구려‘(溝漊ㆍ駒麗)로 적혀 있다. 이 ’구루‘가 ’홀>골‘로 변하였다. 이것이 백제의 초기 지명인 ’위례홀, 미추홀‘에서 쓰이기 시작하여 ’매홀‘(水城>수원)까지의 중부 지역에서 활용되었고, 심지어 서남단의 ’복홀‘(伏忽>寶城)에까지 남하하였다. 갑홀(甲홀=穴城)과 같이 穴의 뜻으로 쓰인 ’갑‘(甲)이 현 강화(甲比古次>穴口)의 옛 이름으로 쓰였다. '내물홀'(乃勿忽>鉛城)의 내물은 鉛의 뜻이었는데 중세국어 ’납‘에 이어진다. 山ㆍ高의 뜻인 '달'(達)이 고조선의 지명인 ’아사달‘(阿斯達>九月山)에 들어 있다. 이 ’달‘이 위 고구려의 32개 성명 중 ’비달홀(非達忽), 가시달(加尸達)에서 발견되는데 이것이 한반도의 중부 지역에 식달(息達), 석달(昔達), 달홀(達忽) 등과 같이 적극적인 분포를 보인다. 남부에도 ’달구불(達丘火>대구), 난달아(難等阿>전북 진안,고산), 유달산(儒達山>목포)‘과 같이 ’달‘이 드물게 나타난다. 岳의 뜻인 ’압‘(押)도 위 고구려 성명 중 ’거시압(居尸押), 골시압(骨尸押), 개시압홀(皆尸押忽)에서 발견되는데 ‘부소압’(扶蘇押>松嶽) 등과 같이 중부지역까지 조밀하게 분포하였다. 銀의 뜻인 '소리홀'(召尸忽>木銀城)의 ‘소리’는 후대의 ’쇠‘로 이어진다. 이 ’소리‘(>쇠)는 한반도 전역에서 보편적으로 쓰였다. 그럴 뿐만 아니라 地ㆍ壤ㆍ川의 뜻인 동음어 '나'(那)가 또한 중부지역에 고루 분포하였다. 특히 '나'가 고구려어에서 壤ㆍ川의 뜻으로 쓰인 동음 이의어였던 사실을 고구려 왕호 및 5부족명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첫째 도읍인 졸본에 흐르던 ’비류나‘(沸流那)의 별칭이 ’보술수(普述水)~송양(松壤)이니 壤ㆍ水의 뜻인 ‘나’가 고구려 초기에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나'는 신라 초기에 '사라ㆍ서라'(斯羅ㆍ徐羅)와 같이 ‘라’로 나타나며, 川의 뜻인 '나'도 신라 인명 ‘소나’(素那=金川)에 들어 있다. 특히 고구려의 서울 ’평양‘의 별칭이 ’평나‘(平那)인바 이는 고구려어로 ’벌나‘이었다. 그런데 동일한 서울 이름이 신라의 ’서라벌‘에서 확인된다. 여기 ’나ㆍ라‘는 땅(壤ㆍ地)의 뜻이니 ’서라벌‘의 ’라벌‘과 ’벌나‘를 비교할 때 어순만 바뀌었을 뿐 내용은 동일하다. 이 ’나‘에서 ’나라‘가 파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신라 월성의 별칭인 ’재성‘(在城)은 ’견성‘(계신성)이다. 고구려 평양성의 별칭이 ’견성‘(畎城)이니 같은 말을 썼던 것이다.이처럼 서울 이름이 똑같고 왕이 ’계시다‘란 말이 똑 같다는 것은 매우 놀라운 사실이며 두 나라의 친근성을 입증하는 결정적인 단서가 되어준다. 마치 오리머리처럼 “강이 푸르다”하여 ’압록(鴨綠)강‘이라 명명한 이 강명을 한역한 것이 ’청천강‘(靑川江)이다. 고구려어로 청천강을 ’살수‘(薩水)라 하였는데 靑의 뜻인 ’살‘이 현 충북 괴산 청천면(靑川面)의 옛 이름인 ’살매‘(薩買)에서 발견된다. 그리고 고구려 건국 수도 졸본의 배수이었던 비류나~보술수~송양(沸流那,普述水,松壤)에서 ’보술:松‘, ’나:水ㆍ壤‘의 대응을 나타내므로 ’보술‘이 松의 뜻임을 알 수 있다. 이 ’보술‘이 백제 첫째 수도 위례홀의 배산인 ’부사악‘(負兒岳)을 비롯하여 ’부소압‘(松嶽>개성), ’부소산‘(현 부여의 扶蘇山) 등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였다. 이 밖에도 많은 예가 있지만 생략키로 한다.

위에서 제시한 지명 요소의 특성은 중국의 지명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런 반면에 이 특성이 한반도에는 적극적으로 분포하였음이 확인된다. 더구나 이 특성들이 신라와 백제의 지명과 동질성적이라는데 깊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고구려ㆍ신라ㆍ백제는 지명의 친근성으로 결속되어 있었던 한(韓세)민족의 세 나라이었음을 확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세 나라는 중국과는 영토상의 아무런 관계도 없었던 별개의 나라들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고구려가 망한 다음 해(669)에 당나라 이적(李勣) 등이 “고구려 제성에 도독부 및 주군(州郡)을 설치하는 건은 마땅히 남생(男生)과 상의 작성하여 주문(奏聞)하라는 칙명(勅命)을 받들었습니다. 안건은 앞에서와 같습니다. ”라고 보고하였던 것이다. 칙서에 “주청(奏請)에 의해서 그 주군(州郡)은 모름지기 (당나라에)예속케 하여야 하겠으므로 요동도안무사겸우상(遼東道按撫使兼右相) 유인궤(劉仁軌)에게 위임하라”고 하였다. 드디어 적당히 분활하여 모두 안동도호부에 예속케 하였다. 그리고 백제 땅에는 웅진도독부를 설치하고 1부, 7주, 51현을 두었다. 중국 영역이 아니었기 때문에 백제가 망하자 당나라는 백제의 서울이었던 웅진(>공주)에 웅진도독부(熊津都督府)를 두었고, 고구려가 망하자 평양에는 안동도호부(安東都護府)를 두었다. 여기 '도독부'와 '도호부'는 점령국에 대한 '식민통치부'에 해당한다. 자기 나라의 일부를 분활하여 신민지로 삼는 나라는 인류의 역사에서 발견할 수 없다. 남의 나라를 강제로 병탄(倂呑)하고 강점 설치한 기구가 이른바 식민통치부가 아닌가? 따라서 서기 669년(총장 2년)에 당 나라 고종이 이적(李勣)에게 칙명으로 설치한 식민지는 고구려와 백제가 자국(중국) 아닌 타국(한국)이었음을 스스로 증언한다. 여기 고구려와 백제는 동일한 식민지인데 고구려만 중국역사에 해당하고 백제는 아니라고 한다. 백제사가 중국사가 아니라면 고구려사 역시 중국사가 아님은 자명한 일임을 자백한 셈이다. 

도수희 충남대 명예교수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