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okpedia.kr/Contents/ContentsView?localCode=krcn&contentsId=GC05311934
포자연유형 (泡子沿類型)
중문 : 泡子沿类型
정의
길림성 길림시를 중심으로 길림성 중부 지역과 흑룡강성 중남부 지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던 부여 문화.
개설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포자연(泡子沿) 전산(前山) 상층 유적을 표지로 하는 철기 시대~삼국 시대 전기의 문화이다. 중심적인 유물 요소로는 토광묘, 목관묘[목곽묘 포함], 연주병식(連珠柄式) 동병철검(銅柄鐵劍), 포자연형 금은제 이식(耳飾), 절형(節形) 황금제 팔찌와 완식(腕飾), 인면형 면구(面具), 각종 철제 무기류 등이 있다.
주요 유적으로는 길림시포자연 전산, 길림시모아산(帽兒山) 목관·목곽묘군, 길림시동단산남성자(南城子) 성지, 영길현(永吉縣)학고(學古) 고분군, 유수현(楡樹縣)노하심(老河深) 목관·목곽묘군 등이 있는데, 길림시와 영길현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송화강 중류역에 집중되어 있다.
포자연 유형의 여러 유적 가운데 가장 연대가 올라가는 유적은 포자연 전산 유적으로, 공반하고 있는 서한계 승문타날문 토기와 서한 전기 양식의 철기류를 통해 기원전 2세기로 편년되고 있다.
가장 늦은 시기로 편년되는 유적은 길림시동단산남성자 성지와 모아산 고분군 후기 단계의 목관·곽묘로, 도용(陶俑)과 오수전(五銖錢) 등 동한(東漢) 후기의 유물이 공반하는 것을 통해 기원후 2세기 후엽으로 편년되고 있다. 기원후 3세기 때의 확실한 유적은 아직 조사되어 있지 않다.
의의와 평가
포자연 유형은 길림시를 중심으로 하는 길림성 중부 지역을 주요 공간역으로 하여 기원전 2~기원후 2세기 말까지 존속한 고고학 문화이다. 포자연 유형의 유적 가운데에는 동단산남성자 성지와 같은 궁성 유적까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기원후 3세기 전엽부터는 주목할 만한 유적을 남기지 못하였다. 이러한 시공간적 양상과 유적 현상은 『삼국지(三國志)』에 기록되어 있는 부여(夫餘)와 거의 부합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현재 동아시아 삼국 학계 모두 이 문화를 부여 문화로 인정하고 있다. 아쉬운 점은 기원후 3세기 때의 유적이 아직 조사되지 않고 있다는 점인데, 향후 이 일대에서의 고고학적인 조사 성과를 좀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다.
참고문헌
김정배, 『한국 민족 문화의 기원』(고려 대학교 출판부, 1973)
오강원, 『서단산 문화와 길림 지역의 청동기 문화』(학연 문화사, 2008)
金貞培, 「韓民族의 起源과 國家 形成의 諸問題」(『국사관 논총』 1, 국사편찬위원회, 1989)
오강원, 「中滿地域의 初期 鐵器 文化=泡子沿式文化의 成立과 展開 樣相:文化 背景 및 夫餘 問題와 관련하여」(『轉換期의 考古學 III: 한국 상고사 학회 제23회 발표 대회 문집』, 한국 상고사 학회, 2000)
오강원, 「西團山 文化와 吉林 中部 地域 初期 鐵器 文化 諸 類型 間의 文化的 相關 關係」(『진단 학보』104, 진단 학회, 2007)
'한국사 > 부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아산 고분군 (帽兒山古墳群) - 세계한민족문화 (0) | 2021.01.18 |
---|---|
유수 노하심 유적(楡樹 老河深 遺蹟) - 동북아역사넷 (0) | 2021.01.17 |
길림 노하심 고분군(吉林老河深古墳群) - 민족문화대백과 (0) | 2021.01.17 |
노하심 고분군 (老河深 古墳群) - 세계한민족문화 (0) | 2021.01.17 |
부족국가 시대의 복식 - 우리역사넷 (0) | 202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