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물고기 떼죽음 대책 제시.."미봉책" 지적
연합뉴스 | 입력 2013.08.26 16:05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지난 22일 부산 삼락천에서 발생한 물고기 떼죽음과 관련해 부산시낙동강관리본부가 단기대책을 내놨지만 땜질식 처방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시 낙동강관리본부는 사상구와 대책회의를 열어 삼락·감전천의 오·폐수 유입을 막는 단기대책을 세웠다고 26일 밝혔다.

낙동강관리본부는 이번 물고기 떼죽음이 장기간 가뭄 끝에 비가 내려 하천 주변의 오염원이 하천으로 흘러들었기 때문으로 보고 3가지의 단기대책을 내놨다.

먼저 인근 사상공단 폐수배출업소 48개소의 오·폐수 배출시간을 분산시킨다는 계획이다.

폐수배출업소가 배출하는 오·폐수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이 법적 기준치인 120ppm을 만족하더라도 하천으로 바로 흘러들었을 때 BOD가 4∼6ppm에 불과한 하천 생태계에 치명적이다.

이 때문에 비가 많이 오거나 가정하수 방류량이 많아 하수관거가 넘쳐 하천으로 흘러드는 것을 막겠다는 의도다.

또 하천 주변 차집관로에 걸리는 이물질과 쓰레기를 수시로 제거해 관로가 막혀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막을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낙동강관리본부는 물고기 폐사를 막기 위해 삼락·감전천 유지용수로 사용되는 낙동강 물 유입구간에 그물망을 설치해 물고기가 하천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는 방안이다.

이에 대해 강미애 학장천살리기시민모임 대표는 "낙동강관리본부 대책은 기존에 제대로 시행하지 못했던 것들의 재탕에 불과하다"며 "폐수배출 시간도 강제성 없이 권고하는 수준인데다 물고기 그물망 역시 치어나 작은 물고기의 유입이 예상돼 폐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4대강 살리기 사업 찬성론자로 알려진 신현석 부산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는 "삼락·감전천 정비사업은 하천을 복원하는 사업이 아니라 공업수로를 하천화하는 사업인데 당장 생태하천이 될 것처럼 말하는 것이 문제"라며 "수질개선, 오염원 유입방지의 단계적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주민 설득과 사업진행을 동시에 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인 분류식 하수관거는 빨라야 2016년에야 완공돼 574억원이 들어간 삼락·감전천이 수년간 반쪽짜리 생태하천이라는 오명을 벗기 쉽지 않은 상태다.

부산시는 26일 오전 환경국이 주관해 낙동강관리본부, 사상구와 함께 다시 대책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wink@yna.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