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 '오른팔'까지.. 청와대 人事트라우마
국민일보 | 입력 2013.09.30 04:59
'친박핵심' 진영 업무복귀 거부에 당혹
청와대에 또다시 '제2의 인사 참사(慘事)' 암운이 드리우기 시작했다. 새 정부 출범 초기 잇따라 터졌던 장·차관급 고위공직 후보자들의 낙마사태가 진정된 지 5개월도 지나지 않았지만 진영 보건복지부장관의 '허가받지 않은 사퇴'와 채동욱 검찰총장의 사표 수리로 청와대와 정부가 동요하고 있다.
특히 진 장관의 항명 파동은 친박근혜계 핵심인물이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부위원장 출신이 청와대와 갈등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파장의 골과 깊이가 예사롭지 않다. 지난 3∼4월 인사 참사가 검증과정에서의 실수 차원이었다면 이번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누구보다 믿었던 '오른팔'로부터 배신을 당했다는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http://i2.media.daumcdn.net/svc/image/U03/news/201309/30/kukminilbo/20130930045906235.jpg)
여권 핵심 관계자는 29일 "정권 초반부를 인사 '사고'와 함께 시작한 박근혜정부가 이제는 총체적인 인사 '위기'를 맞고 있다"며 "새 정부 국가정책 골간을 설계한 사람이 저리 자빠지는데 대통령이 믿고 쓸 수 있는 사람이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다른 인사는 "일개 기업의 과장·대리도 그만둘 때 자기 할 일은 다 하고 사장 허락은 받고 나간다. 정말 참담한 심정"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공식 반응을 극도로 자제하면서도 속으로는 부글부글 끓고 있다. 지난 27일 사표를 반려할 때 "대통령의 뜻"이라고 분명하게 밝혔음에도, 진 장관이 직원 결혼식에서 공개적으로 사퇴 고수 입장을 밝힌 데 대한 당혹스러움이 크다. 게다가 복지부 조직 전체가 진 장관 입장만 대변하는 듯한 스탠스를 취하는 것에도 경악하는 분위기다. 야당의 '복지 후퇴' 공세가 갈수록 커지는데 최일선에 있는 부처가 책임 회피에만 급급하고 있다는 불만이다.
채 총장 사표 수리건도 청와대를 힘겹기 만드는 '태풍의 눈'이다. 단지 채 총장 한 사람의 문제가 아니라 검찰개혁과 국가정보원 개혁문제까지 맞물려 민심이반을 재촉할 수 있다.
당장 청와대는 공석이 된 검찰총장을 비롯해 감사원장과 감사위원,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등 장·차관급 후임자를 10월 중 결정해야 한다. 이와 맞물려 각 정부 부처 수장 교체설이 모락모락 피어오르고 있다. 정치인 출신 장관들의 내년 6월 지방선거 출마설과 국정 실적을 낳지 못한 일부 장관들에 대한 교체 요구다.
새누리당 국회의원 신분을 유지하고 있는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당 안팎에서 경기지사 출마설이 흘러나오고 있고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은 서울시장 출마 후보군에 이름이 오르내리는 상황이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복지공약 후퇴의 원인이 된 세수부족에 대한 책임론에,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은 실적이 없다는 비판에 시달리고 있다.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이명박정부 시절부터 3년간 재임한 데다 군 수뇌부 인사도 마무리돼 교체 가능성이 높다는 전언이다.
결국 박 대통령과 청와대가 집권 1년차에 중폭 이상의 개각을 단행해야 하는 상황으로 계속 몰리는 형국이다.
신창호 유성열 기자 procol@kmib.co.kr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서 김무성의원 '국정원 해체' 요구시위 진땀 - 뉴시스 (0) | 2013.09.30 |
---|---|
국정원, ‘대통령 기록물’ 무단 공개 ‘사전 기획’ 드러나 - 한겨레 (0) | 2013.09.30 |
주말에 먹은 한우, 혹시 미국산? 올해만 75t 국내·호주산 둔갑 - 한겨레 (0) | 2013.09.30 |
2014년 환경부 예산, 4대강사업 복사 "토목중독증" - 프레스바이플 (0) | 2013.09.29 |
공약 때부터 '국민연금과 연계' 였다 - 뉴스타파 (0) | 2013.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