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070317000172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5> 대조영이 거처한 왕궁은 어디였을까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77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6> 무왕 대무예의 당나라 공격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78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7> 발해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육정산 고분군 - 부산 http://tadream.tistory.com/280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8> 북한의 발해사 연구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81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9> 발해의 자존과 슬픔이 있는 곳-정효공주묘 - 부산 http://tadream.tistory.com/282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10> 두 번째 수도 - 중경현덕부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83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11> 역사와 발해드라마 '대조영'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87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12> 발해사의 자주성과 고구려 계승 문제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88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연남생과 대문예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89
중경 - 서고성 목록 http://tadream.tistory.com/14377
발해의 지방과 성곽 목록 http://tadream.tistory.com/4502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10> 두 번째 수도 - 중경현덕부
농업 생산의 기반, 비옥한 땅을 찾아서
해란강변 위치 기후도 따뜻, 고구려 계승상징 유물 출토
日·신라·당과 대외 교통로, 武治에서 文治로 개혁의 땅
부산일보 | 20면 | 입력시간: 2007-03-17 [16:24:05]
중국과 러시아의 발해 유적이 있는 곳의 근대적 특징은 대개가 조선족이나 고려인들이 여전히 살고 있다는 것이다. 연변조선족 자치주는 간도지방으로서 독립운동의 본거지였으며 고구려·발해사와 함께한 유적지로서 한국의 탐방객들이 매년 수없이 다녀가는 곳이기도 하다.
연변에서 버스로 남서쪽으로 30분 정도를 달리면 해란강이 눈에 들어오고 용정시(龍井市)를 지난다. 발해 유적 답사자들은 먼저 화룡에 가서 발해 서고성(西古城)과 정효공주묘 등을 들렀다가 오후에 연길로 돌아가면서 들르곤 하는 곳이 용정이다. 이곳은 일제의 탄압을 피해 간도로 간 많은 대한제국의 교포들이 독립운동을 하던 곳이다. 민족시인 윤동주 시비가 있는 이곳의 대성중학교(현 용정제일중학교)는 독립과 교육의 본산이었다. 문익환 목사도 이 학교를 나왔다고 한다.
가곡 '선구자'의 무대였던 용정의 '일송정(一松亭)'도 빠지지 않는 코스다. 지금은 주변에 그 지역의 큰 체육경기장이 들어서 있어 현대적 분위기가 물씬 나지만 한 20분 정도 걸어서 올라가면 그래도 꽤 숨이 차는 곳이기도 하다.
작년에 갔을 때는 일송정에 한국인들이 정성스레 세워두었던 기념시비가 아래로 내팽개쳐 있는 것이 안타까웠다. 이른바 중국식 정화작업 과정에서 높은 분의 지시로 한국인들이 제작한 것이 밀려 내려왔던 것이다. 한글로 새긴 비였지만 이곳은 엄연한 중국이었다.
발해의 지방 편제는 5경(京),15부(府),62주(州)로 이루어졌다. 그 중 5경의 한 곳이 중경(中京)과 그 통치지역인 현덕부(顯德府)로 이른바 중경현덕부이다. 바로 화룡현(和龍縣) 서성진(西城鎭) 두도평원(頭道平原) 서북고성촌(西北古城村)의 서고성이다. 이곳은 발해의 두 번째 수도로 구국(舊國) 즉 지금의 둔화 지역에서 제3대 문왕 대흥 5년(742)에 옮겨와 대흥 19년(755)에 상경(上京)으로 옮길 때까지 14년간 수도였던 곳이다.
원래 중경이 어디인가 하는 논쟁은 이곳 서고성설과 길림성 둔화(敦化)설과 화전(樺甸)설 등이 팽팽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1980년 10월 이곳에서 가까운 문왕의 넷째 딸 정효공주묘가 발견되고부터 이곳을 중경으로 확신하게 되었다.
이곳 중경현덕부의 치소(治所)는 노주(盧州),현주(顯州),철주(鐵州),탕주(湯州),영주(榮州),흥주(興州) 등 6개였다.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와 남경남해부(南京南海府)가 각각 3개 주,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와 서경압록부(西京鴨府)가 각각 4개 주를 거느리고 있었던 것에 비해 가장 많은 주를 거느렸던 도성이었다.
서고성은 내성과 외성으로 나뉘는데 외성은 직사각형으로 동서의 길이가 630m,남북의 길이가 730m이고 둘레가 2천730m이다. 성벽은 흙을 다져 쌓았는데 다짐층의 두께는 10㎝이다. 성벽 밑면의 너비는 13~17m,윗면의 너비는 1.5~4m이며 남아 있는 성벽의 높이는 1.8~2.5m이다. 15m 정도의 남문과 북문이 터져있으며 성안의 동남쪽에는 1천500㎡ 되는 못자리가 있으며 성벽에는 물이 고인 해자(垓字)가 있었다.
해자는 대부분 메워지고 오직 남쪽 성벽의 동쪽 끝과 동쪽 성벽의 남쪽 끝에만 남아 있는데 그마저 물도랑이 되었다.
내성은 외성 중부에서 북쪽에 치우친 곳에 위치해 있는데 장방형이며 남북의 길이가 310m,동서 너비 190m이다. 내성의 동쪽 성벽은 외성의 북쪽 성벽에서 약 70m 떨어져 있다. 내성 안에는 북남향으로 자리잡은 3개의 궁전자리가 있다. 이러한 성의 평면구조는 흑룡강성 녕안시(寧安市) 발해진(渤海鎭)의 상경(上京)이나 길림성 훈춘시(琿春市) 팔련성(八連城)의 동경(東京) 구조와 거의 같다.
▲ 발해의 두 번째 수도 중경 서고성 복원도(중국 길림성 화룡현).
▲ 중경터에서 쏟아져 나온 발해 기와무지. 최근 중국이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전면 재발굴한 서고성터 중경 유적에서 쏟아져 나온 발해의 전형적인 손끝무늬기와 등을 수십 겹으로 쌓아 놓았다. 붉은 색의 고구려기와도 선명하다(박민성씨 제공).
여기서 나온 유물들은 꽃무늬벽돌,유약 바른 푸른 기둥밑치레,유약 바른 푸른기와,부서진 귀면(鬼面),검은 기와,그리고 고구려 계승의 상징인 연꽃무늬 막새기와,발해의 전형적인 손끝무늬 숫키와를 비롯해 신라와의 교류를 의미하는 봉황무늬 암키와,발해문자기와 등이다.
이 유적의 소개와 최초 발굴은 일본의 만주 침략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통감부간도임시파출소기요(統監府間島臨時派出所紀要)'(1909)와 '간도사정(間島事情)'(1918) 등에서 소개되기 시작해 1937년과 1943년 및 1945년에는 발굴이 있었다.
중국정부에 의해서는 1982년 성급(省級)의 중점문물보호단위에서 1996년에는 국가급으로 그 격이 높아졌으며 최근에는 전면 재발굴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성이 자리하고 있는 화룡현은 발해 유적들이 많이 있는데 성터로서는 허래성(虛萊城)으로 불리는 하남툰(河南屯) 고성과 해란(海蘭)고성 등이 있고,고분군으로서는 정효공주묘가 나와 유명한 용두산(龍頭山)과 순금제 장식들이 발견된 하남툰을 비롯해 발해삼채가 나와 유명한 북대(北臺) 고분군 등이 있다.
구국에서 이곳으로 수도를 옮긴 것은 경제적 이유가 먼저 꼽힌다. 둔화 지역은 군사적인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지대가 높아 냉하고 기후가 차서 농업에 적합하지 않은 곳이었다.
그러나 중경 지역은 해란강 등이 있어 토지가 비옥하며 기후가 따뜻하여 농업생산에 유리한 지역이다. '신당서'에서 발해의 유명한 농산품으로 소개되는 노주(盧州)의 벼(稻)와 현주(顯州)의 포(布),그리고 위성(位城)의 철(鐵)이 모두 중경 지역에서 생산됐다는 것도 이러한 점을 반영한다.
다음으로는 고구려유민에 대한 지배를 강화하기 위해서 천도한 것으로 보인다. 이 지역은 고구려 변방의 백산부(白山部)로 백산부 부족은 고구려군대에서 '말갈군'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백산부란 오늘날의 화룡,연길,용정,왕청,도문, 훈춘을 중심으로 한 연변지역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문왕이 무치(武治)에서 문치(文治)로 그의 국가통치 이념을 개혁하는 과정에서 중경을 선택했고,일본,신라,당과의 교섭을 원활히 하기 위한 대외교통로의 중심지에 중경이 있었다는 것도 천도의 한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한규철/경성대 사학과 교수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1> 대조영이 야망을 꿈꾸던 땅 차오양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73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2> 고구려인들의 영원한 고향 요동벌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74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3> 대조영·이해고의 숙명 '천문령 전투'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54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4> 동모산에 자리잡은 최초의 산성-성산자산성 - 부산 http://tadream.tistory.com/276[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2> 고구려인들의 영원한 고향 요동벌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74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3> 대조영·이해고의 숙명 '천문령 전투'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54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5> 대조영이 거처한 왕궁은 어디였을까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77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6> 무왕 대무예의 당나라 공격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78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7> 발해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육정산 고분군 - 부산 http://tadream.tistory.com/280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8> 북한의 발해사 연구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81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9> 발해의 자존과 슬픔이 있는 곳-정효공주묘 - 부산 http://tadream.tistory.com/282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10> 두 번째 수도 - 중경현덕부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83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11> 역사와 발해드라마 '대조영'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87
[잃어버린 발해사를 찾아] <12> 발해사의 자주성과 고구려 계승 문제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288
'말갈 추장' 걸사비우 대조영 아버지 걸걸중상과 같은 반열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5580
유적 철통보안과 역사은폐…국가주도 역사왜곡 의도?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5581
당에 치열하게 저항한 고구려 말갈인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5582
평양성 함락되던 역사적 순간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5583
차오양은 어떤 곳인가 - 부산일보 http://tadream.tistory.com/5584중경 - 서고성 목록 http://tadream.tistory.com/14377
발해의 지방과 성곽 목록 http://tadream.tistory.com/4502
'발해 > 지방과 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해 5경의 이동배경과 그 의미 - 신형식 (0) | 2011.10.25 |
---|---|
발해의 영토 및 기후 - 관유 (0) | 2011.10.25 |
해동성국 발해 그 현장을 가다 <3> 160년 발해수도 상경용천부의 영욕 - 국제 (0) | 2011.10.22 |
해동성국 발해 그 현장을 가다 <1> 대조영 발해 건국지 동모산 - 국제 (0) | 2011.10.22 |
발해 도읍 상경성 전모 첫 확인 - 한겨레 (0) | 2011.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