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수호산성(轉水湖山城)
전수호산성 위성사진, 지도 https://j.map.baidu.com/ca/wI9i https://tinyurl.com/25k9cr4c
https://maps.app.goo.gl/xEi3cfUWDdHPBPU79
https://maps.app.goo.gl/xEi3cfUWDdHPBPU79
시대 : 고구려~고구려 초기
위치(출토지)
遼寧省 撫順市 新賓縣(新賓滿族自治縣) 響水河子鄕 轉水湖村 “高麗城子”山
요녕성 무순시 신빈현(신빈만족자치현) 향수하자향 전수호촌 “고려성자” 산
辽宁省 抚顺市 新宾县(新宾滿族自治县) 响水河子乡 转水湖村 “高丽城子”山
랴오닝청 푸순시 신빈시엔(신빈만주즈지시엔) 샹수이허즈샹 좐수이후춘 가오리청즈샨
* 신빈현 동남 35㎞의 향수하자향 전수호촌 북쪽 500m 거리의 “고려성자” 산 위에 위치
유형 : 성곽>산성
형태사항
동벽575m, 서벽156m, 남벽 245m, 북벽 382m, 총둘레 1,355m로 총 면적은 9㎡.
조사내용
1980년 무순시박물관고고조사단, 신빈현문화국(無順市博物館考古調査團, 新賓縣文化局)
산성발견 및 현황조사 함. 명칭을 전수호산성으로 명명하고 『북방문물』1991-1에 발표함.
구조특징
산성은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평행하게 뻗은 좁고 기다란 자연절벽(초벽) 2개를 이용하여 축조하였음. 자연절벽[초벽장]과 가파른 산비탈을 연결하여 인공성벽 5구간을 쌓아 완전히 봉쇄된 성을 구축하였음.
축조법이 흑구산성과 유사하며 편편하고 네모난 모양의 쐐기형 돌(계형석)을 평평하게 깔았는데 너비가 넓은 쪽은 바깥으로, 좁은 쪽은 안쪽으로 향하도록 놓았으며 틈 사이는 잔돌로 채웠음.
역사적 의미
중국학자들은 1980년대 이래 부이강을 고구려 초기의 비류수로 비정하고 부이강 상류 일대를 비류국의 고지로, 전수호산성과 흑구산성을 그 중심지로 설정하고 있음. 전수호산성은 고구려 건국시 또는 그 이전에 축조되었다고 파악함[무순시박물관, 신빈현문화국].
군사 방어시설물로 보는 견해도 있음. 전수호산성의 동서 양면은 부이강과 고려구이고, 남쪽은 부이강 연안의 전수호평원으로서 삼면이 주위의 산천과 분리된 천혜의 지형조건임. 북쪽으로는 좁고 기다란 절벽이 산성과 연결되어 있어 방어에 불리하지만, 이 절벽을 산성의 방어계통에 편입시켜 동문으로 진격하는 공격로를 차단할 수 있음. 또한 절벽이 북쪽 산봉우리와 산성의 연결을 차단하고 있음. 산성의 서북 각대에서 부이강 상류방면, 서남 각대에서 부이강 하류방면을 각각 공제할 수 있고, 서벽 망대에서 부이강 연안 일대 전체를 조망할 수 있음. 이로 보아 전수호산성은 부이강 연안 일대를 공제하던 군사방어시설로 추정됨. 부이강 일대에는 전수호산성 이외에도 흑구산성, 사도구산성, 건설산성 등이 분포되어 있음. 이들은 모두 해발 600-700m의 높은 산 위에 있고, 각각 부이강 서안과 동안에 위치해 있으면서 모두 부이강 연안을 잘 관찰할 수 있도록 망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소자하 유역에서 부이강 연안을 경유하여 혼강 본류로 나아가던 교통로를 공제하던 군사방어시설로 추정됨. 전수호산성은 흑구산성, 사도구산성, 건설산성 등과 함께 부이강 연안 일대에서 혼강 우안의 호형·축선방어체계를 구성하였다고 파악됨(여호규).
고구려 후기의 가물성에 비정하는 견해도 제기되었음[순진지/손진기, 핑용첸/풍영겸, 왕미엔허/왕면후].
자연환경
산성이 위치한 산은 해발 609m로 북쪽에는 낮고 협소한 골짜기가 있고, 동쪽으로는 ‘고려구’라는 넓은 골짜기와 잇닿아 있으며, 서쪽에는 혼강 지류인 부이강이 남류하고 있고, 남쪽으로 전수호촌이 내려다 보임.
산성 서쪽에서 남류하던 富爾江은 산성 서남쪽 모서리에서 방향을 꺾어 동류하면서 전수호촌을 지난 다음, 마을 남쪽 서산을 ‘S’자형으로 돌아나가면서 다시 남류함.
여러 굽이로 굽이쳐 흐르는 부이강이 산성을 은폐하는 지형을 만들고 있을 뿐 아니라, 주위 산봉우리에 잇닿아 있지 않고 독립되어 있는 산성의 네 모서리도 산성 축조에 좋은 지형조건을 제공하고 있음.
전수호산성 평면도
유물정보
격자문과 승문이 시문된 홍갈색 토기편.
참고문헌
· 孫進己·馮永謙, 『東北歷史地理』 (二),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 佟達, 「遼寧新賓縣轉水湖山城」『北方文物』 1991-1, 1991
· 王禹浪·王宏北, 「中國吉林省新賓滿族自治縣响水河子鄕高句麗轉水湖山城址」『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 (上), 哈爾濱出版社, 1994
· 魏存成, 「城址·建築址」『高句麗考古』, 吉林大學出版社, 1994
· 王綿厚, 「鴨綠江右岸高句麗山城硏究」『遼海文物學刊』 1994-2, 1994
· 陳大爲, 「遼寧高句麗山城再探」『北方文物』 1995-3, 1995
· 余昊奎, 「新賓 轉水湖山城」『高句麗 城』 Ⅰ(鴨綠江 中上流篇), 國防軍史硏究所, 1998
· 魏存成, 「山城」『高句麗遺跡』, 文物出版社, 2002
· 王綿厚, 「高句麗南北二道上諸城」『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2002
· 李樂營·李淑英, 『中國高句麗學者與硏究綜述』, 吉林文史出版社, 2006
'고구려 > 성,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고자료로 본 백산말갈과 고구려의 책성 - 강인욱 (1) | 2024.10.04 |
---|---|
건안성 - 나무위키 (1) | 2024.10.03 |
철배산성(鐵背山城) 2 - 동북아역사넷 (1) | 2024.09.27 |
철배산성(鐵背山城) 1 - 동북아역사넷 (0) | 2024.09.27 |
가물哥勿 고찰 - 국가유산콘텐츠 (3)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