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만주지역 독립군의 무장투쟁
우리역사넷 > 신편 한국사 > 근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1930∼1940년대 초반 만주지역(중국동북)에서 한민족이 전개한 항일무장투쟁 등 여러 형태의 민족해방운동(독립운동)은 1931년 9월 일본제국주의의 만주 침략이 본격화하면서 여러 주체세력에 의해 다양하고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1930∼1940년대 초 재만한인(在滿韓人)들의 일본제국주의 세력에 대한 일련의 저항과 투쟁은 우리민족의 독립운동사와 한국근대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근·현대사에서도 상당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시기 만주에서의 민족해방운동은 우리 민족 단독으로 추진되었던 것이 아니라, 중국국민당 계열의 중국의용군과 항일대중, 중국공산당 만주지부조직 등 중국측 지원세력과 연계되어 전개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을 반영하여 이곳에서 전개된 1930∼1940년대 초 한인들의 민족해방운동에 대한 연구는 중국(연변)이나 북한은 물론 한국에서도 적지 않게 진행되었다. 특히 1980년대 후반 이후 한국에서 소장학자들을 중심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만주지역에서 재만한인들이 전개한 민족해방운동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치 못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1930년대 이후 우리민족이 치열하게 전개한 만주지역에서의 민족해방운동은 별로 없었거나 30년대 초반을 고비로 쇠퇴한 것으로 오해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1930년대 재만한인들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한 여러 지역의 연구경향은 연구자들의 입장이나 사관의 차이, 이념적 제약 등에 따라 연구대상이 되는 단체나 인물·시기, 그리고 사회경제적 배경이나 활동내용, 투쟁방법론 등의 분석과 평가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은 최근 연변지역과 한국·일본 학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어느 정도 해소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당한 견해차를 드러내기도 한다.
 
1930∼1940년대 초의 무장투쟁은 크게 보아 세 계열의 흐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즉 남만주에서 국민부(國民府)와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산하의 무장조직으로 성립된 조선혁명군,601) 북만주에서 한족자치연합회(韓族自治聯合會)와 한국독립당의 산하무력으로 창건된 한국독립군,602) 그리고 중국공산당 만족성위원회(滿洲省委員會) 산하 무장조직으로 편성·발전된 동북인민혁명군(후일의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 내603) 한인 세력이 바로 그것이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중국공산당 조직의 구성원으로 동북인민혁명군(동북항일연군)에 가담하여 일제와 투쟁한 한인들의 활동을 독립운동사의 범위에 포함시킬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1990년대 초 발간된 중국의 대표적 단행본은 동북항일연군이 실질적으로 중국과 한국(조선) 양민족의 연합부대였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다.604) 또 최근 한국에서 출판된 개설서와 시대사류 서적에도 이들의 활동을 우리 민족해방운동사로 인정하여 서술하는 경향이 늘어가고 있다.605) 그러므로 우리는 이 부대에 개별적으로 가입하여 일제와 투쟁한 한인들의 투쟁사를 우리 민족운동사의 한 부분으로 정립해야 할 것이다. 최근 조국광복회와 동북항일연군의 실상 및 역할이 새롭게 조명되면서 일부 논점이 제기되기도 했다. 즉 일부 연구자들이 동북항일연군의 민족연합적 성격을 부정하면서 논쟁이 일어나기도 했던 것이다.606) 그러나 필자는 동북항일연군 역시 한민족 민족해방운동의 한 범주로 파악해야하며, 조국광복회 역시 1930년대 만주지역 민족통일전선운동의 주요 결실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비중으로 서술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시각에서 동북항일연군내 한인들의 투쟁과 조국광복회를 일정하게 우리 독립군 활동의 한 범주로 수용코자 한다. 따라서 1930년대 이후 만주지역 독립군의 무장투쟁을 위의 세 계열 무장세력 및 관련조직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서술하기로 한다.
 
601) 조선혁명군과 조선혁명당·국민부에 관한 최근의 연구로 아래의 성과를 들 수 있다.
黃龍國,<‘조선혁명군’ 역사에 대하여>(≪國史館論叢≫15, 국사편찬위원회, 1990).
張世胤,<조선혁명군 연구-몇 가지 쟁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한국독립운동사연구≫4,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0).
―――,<在滿 조선혁명당의 성립과 주요구성원의 성격>(≪한국독립운동사연구≫10, 1996).
―――,<조선혁명군정부 연구>(≪한국독립운동사연구≫11, 1997).
―――,<國民府 硏究-성립 및 憲章, 자치활동을 중심으로>(≪한국독립운동사연구≫12, 1998).
―――,≪在滿 조선혁명당의 민족해방운동 연구≫(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7).
慶倫鎬,<조선혁명당의 성격 연구>(≪釜大史學≫19, 1995).
曹文奇,≪鴨綠江邊的抗日名將梁世鳳≫(瀋陽:遼寧人民出版社, 1990).
―――,≪同仇敵愾-遼東, 吉南地區朝鮮族抗日鬪爭史≫(撫順:撫順市社會科學院新賓滿族硏究所, 1998).
辛珠柏,≪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1945)≫(아세아문화사, 1999).
602) 한국독립당 및 한국독립군에 관해서는 다음의 글들이 참고된다.
박 환,<在滿 한국독립당에 대한 一考察>(≪韓國史硏究≫59, 1987).
黃龍國,<조선독립군의 무장항쟁(1931∼1937)>(≪한국무장독립운동에 관한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1988).
장세윤,<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연구>(≪한국독립운동연구≫3, 1989).
603) 李德一,≪東北抗日聯軍 硏究≫(숭실대 박사학위논문, 1998).
604) ≪東北抗日聯軍鬪爭史≫編寫組,≪東北抗日聯軍鬪爭史≫(北京:人民出版社, 1991, ‘出版說明’) 참조.
 
605) 보기를 들면 다음과 같은 책이 있다.
망원한국사연구실,≪한국근대민중운동사≫(돌베개, 1989).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편,≪한국사특강≫(서울대학교 출판부, 1990).
한국역사연구회,≪한국역사≫(역사비평사, 1992).
강만길 외,≪한국사≫16(한길사, 1994).
강만길,≪고쳐쓴 한국현대사≫(창작과 비평사, 1994).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한국독립운동사사전≫총론편(독립기념관, 1996).
한국근현대사연구회 엮음,≪한국독립운동사강의≫(한울아카데미, 1998).
강만길,≪통일지향 우리 민족해방운동사≫(역사비평사, 2000).
 
606) 이덕일(李德一)은<민생단(民生團)사건이 동북항일연군 2군에 미친 영향>(≪한국사연구≫91, 1995);<동북항일연군 창설배경에 관한 연구>(≪숭실사학(崇實史學)≫9, 1996);≪동북항일연군 연구≫(숭실대 박사학위논문, 1998) 등 일련의 연구를 통해 동북항일연군은 어디까지나 중국인 주도의 ‘계급연합부대’였을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여러 면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