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096
계루부(桂婁部)
1995년 노명호 2017년 조영광(국사편찬위원회, 한국고대사)
고구려 왕실소속의 단위 정치체.
부여에서 남하하여 고구려를 세운 주몽이 원고구려 지역에 정착하면서 자신을 추종하는 부여계 집단과 재지 세력이 결합하며 계루부의 모태가 성립되었다. 계루부는 고구려 5부(部) 중 왕실의 부로서 가장 힘을 갖고 있었다. 핵심 영역은 고구려 수도권으로 추정되며, 집권화의 진전과 함께 수도의 지역 구분인 방위명 5부의 바탕이 되었다.
내용
한국 고대사에서 부(部)는 연맹 단계를 거쳐 소국의 수장이 중앙 귀족화하면서 편제된 지배자 공동체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고구려의 5부 역시 이른 시기부터 핵심 정치 체제로 기능하였다. 고구려 5부에 대해 『삼국지(三國志)』와 『후한서(後漢書)』에는 왕의 부인 계루부와 함께 소노부(消奴部), 절노부(絶奴部), 관노부(灌奴部), 순노부(順奴部)가 있었다고 전한다. 『삼국사기』는 이들의 이름을 각각 계루부, 비류나부(沸流那部), 연나부(椽那部), 관나부(貫那部), 환나부(桓那部)로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후한서』에 보이는 5부의 명칭에 대해서 당의 장회태자 이현이 주를 달아 계루부를 내부 또는 황부로, 절노부를 북부 또는 흑부·후부로, 순노부를 동부 또는 청부·상부·좌부로, 관노부를 남부 또는 적부·전부로, 소노부를 서부 또는 백부·하부·우부 등의 방위명 5부와 각각 대응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7세기 당시 고구려의 수도 구획명으로 기능하였던 방위부와 고구려 전기의 고유명 부[나부]의 차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오해한 데서 기인한 것이다. 고유명 5부와 방위명 5부는 그 성립 시기와 성격이 다르다. 고유명 5부가 고구려 전기에 자체 운동력을 가진 반자치적 성격의 정치체인 반면, 방위명 5부는 고구려 중, 후기 왕권의 신장으로 집권화가 진전되며 성립한 수도의 지역 구분이므로 양자는 전혀 다른 성격을 지닌다.
‘계루부’라는 명칭에 포함된 ‘루’자는 동부여를 비롯하여 백제 등 부여계 국가들의 지명, 인명 등에서 자주 보이는 글자이다. 고구려의 시조이자 계루부 집단의 초대 수장으로 여겨지는 주몽이 부여 출신임을 고려할 때, '계루'는 주몽을 중심으로 고구려를 세운 부여계 집단의 명칭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계루부가 부여계 유이민 집단만으로 구성된 것은 아니었다. 그 핵심이 부여계인 것은 사실이나, 수적으로 열세인 만큼 토착 세력들도 흡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주몽이 고구려를 건국하는 과정에서 부여를 떠나 졸본 지역으로 들어오는 도중에 만난 모둔곡(毛屯谷) 세력, 졸본의 원주 세력 등이 대표적이다. 즉 계루부는 부여계 유이민 집단 및 원고구려 지역 토착 세력의 혼성 집단인 것이다. 주몽과 마찬가지로 부여계 유이민 출신인 유리가 단행한 천도는 계루부가 정치적 결속력을 강화하며 강력한 고구려 왕실의 부로 정립하게 된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계루부의 핵심 영역은 새로운 수도인 지안[集安] 지역으로 상정할 수 있다.
계루부는 고구려 왕실의 부로, 고구려 초기의 5부 중 유일하게 『삼국사기』나 중국 문헌에서 동일한 이름으로 나와 있다. 고구려의 5부는 국내와 국외의 문헌에 전해지는 구체적 명칭이 달라 그 대응에 있어 혼선을 빚을 여지가 있어 연구자들마다 조금씩 이견이 있어 왔다. 하지만 계루부만큼은 발음과 해당 글자까지 완전히 일치하여 논란의 소지가 없다. 이는 계루부가 고구려 왕실의 부로서 그만큼 강력하고 중심적 역할을 하였기에 외국인에게도 정확히 전달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고구려초기정치사연구 (여호규, 신서원, 2014)
고구려의 영역지배 방식 연구 (김현숙, 모시는 사람들, 2005)
고구려정치사연구 (임기환, 한나래, 2004)
고구려사연구 (노태돈, 사계절, 1999)
백제정치사연구 (노중국, 일조각, 1988)
「고구려 5나부의 성립과정과 영역 검토」(조영광,『대구사학』 98,2010)
'고구려 > 정치,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노부(順奴部), 환나부(桓那部) - 민족문화대백과 (0) | 2019.12.07 |
---|---|
절노부(絶奴部), 연나부(椽那部), 제나부(提那部) - 민족문화대백과 (0) | 2019.12.07 |
연노부(涓奴部),소노부(消奴部) - 민족문화대백과 (0) | 2019.12.07 |
고구려 오부(高句麗五部) - 민족문화대백과 (0) | 2019.12.07 |
관노부(灌奴部) - 민족문화대백과 (0) | 2019.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