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6328


언론학자가 바라본 ‘바이든’ ‘날리면’ 보도의 진짜 문제는

기자명 박서연 기자   입력 2022.10.16 09:44  수정 2022.10.19 11:51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권력, 언론의 형식적 객관주의 보도 관행을 전략적 도구로 활용했다”


‘바이든’ ‘날리면’ 논쟁 과정에서 언론의 ‘형식적 객관주의’ 관행이 작동해 결과적으로 ‘관료’ 등 ‘권력’의 의도대로 흘러갔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홍원식 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는 서울대학교에서 개최한 ‘한국언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욕설·비속어 논란 보도로 촉발된 ‘바이든’ ‘날리면’ 등 논쟁 관련 보도를 ‘형식적 객관주의’로 지적했다. 홍원식 교수는 주장을 그대로 전달하는 식의 ‘형식적 객관주의’와는 차별화된 ‘책무’를 강조하며 ‘언론인의 목적론적 윤리관으로서 객관성 추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홍원식 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원, 이정환 미디어오늘 대표, 김춘식 한국외대 교수, 정은령 SNU팩트체크센터장, 정준희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겸임교수. 사진=박서연 기자.

▲(왼쪽부터) 홍원식 동덕여대 교양학부 교수,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연구원, 이정환 미디어오늘 대표, 김춘식 한국외대 교수, 정은령 SNU팩트체크센터장, 정준희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겸임교수. 사진=박서연 기자.


홍원식 교수는 “요즘 우리는 저널리즘에서 사실은 사라지고 주장과 의견만 넘쳐나고 있음을 매일 같이 확인하고 있다”며 “사실이 사라진 세계에서 남게 되는 것은 주장과 의견으로 구성된 전략적이며 집단적인 도그마”라고 했다. 홍원식 교수는 포털에 종속돼 정치인 주장을 따옴표로 전하고, 온라인용 기사를 쏟아내는 언론 현실과 함께 유튜브로 대표되는 ‘유사 저널리즘’의 문제를 지적했다.


‘본질 추구’의 저널리즘이 무뎌진 상황에서 벌어진 ‘바이든’ ‘날리면’ 논쟁에 관해 홍원식 교수는 “무기력한 저널리즘과 달리 바이든과 날리면 논란에서 사실에 대한 정치권의 관료적 대응은 민첩하고 유능하게 나타난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바이든’이 아니라 ‘날리면’으로 발언했다는 대통령실의 뒤늦은 발표 이후 다수 언론이 ‘바이든’과 ‘날리면’을 병기하거나, ‘날리면’으로 쓰거나, 양측의 입장이 대립하는 상황 자체를 뉴스로 전한 상황이 이어졌다.


홍원식 교수는 “140개 넘는 언론이 바이든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지만, 다음 날 보도는 대부분 바이든과 날리면을, 서로 다른 인식을 거의 대등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모습이 보인다”며 “해당 사운드바이트(발화자의 음성)가 바이든이었음을 명시적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보도 경향을 보이고 있다. 얼마나 쉽게 실체적 사실의 체계가 제도적 사실 체계로 대체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재정공약회의에 참석한 뒤 행사장을 나오면서 막말을 한 장면이 포착됐다. 사진=MBC 영상 갈무리.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펀드 재정공약회의에 참석한 뒤 행사장을 나오면서 막말을 한 장면이 포착됐다. 사진=MBC 영상 갈무리.


홍원식 교수는 “정당 대변인, 기업 홍보담당자 또는 정치 패널 등은 사실 자체보다는 사실에 대한 주장이 있었다는 것을 곧 사실로 간주해 보도하는 우리 언론의 객관주의 보도 관행을 능숙하게 자신의 전략적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장이나 상황 자체를 객관적으로 전하는 언론의 객관주의 보도 관행을 잘 알고 있는 ‘관료’측에서 보도 양상의 변화를 노리고 이 같은 대응을 했다는 취지의 주장이다.


홍원식 교수는 언론이 대통령실의 요청을 수용한 상황에 관해 “진보 보수의 갈등 구도라기보다는 언론의 효율적 정파성이 관료적 사실 체계의 일부로 작용한다”고도 분석했다. 언론이 정치적 목적 못지 않게 취재 비용을 최소화하는 상황에서 취재에 나서기보다는 반박 입장을 전하는 것이 ‘효율적’이었기에 이 같은 선택을 했다는 지적이다.


홍원식 교수는 현실 상황을 타개할 방법도 ‘객관적 저널리즘’이라는 입장이다. 홍원식 교수는 ‘형식적 객관주의 저널리즘’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실천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 저널리스트의 목적론적 윤리학”을 언급하며 “진실 탐구의 뚜렷한 동기를 갖기 위한 객관성”을 강조했다. 그는 “(여기서 말하는) 객관성은 본질적으로 정치-관료 체계에 의해 잠식되지 않기 위해 권력에 대한 감시와 관료적 체계에 저항이라는 덕성을 필요로 하는 언론의 정체성”이라고 말했다.


정준희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겸임교수는 “지금의 저널리즘은 사실 추구형 생산 구조가 아닌 오락적 생산 구조를 갖고 있다”며 “이에 효능감을 맛보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이 합의해 낼 수 있는 건 ‘트래픽’이다. 다른 의견이 있더라도 사실을 검증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서 가장 문제 해결이 막혀있는 것 같다”고 했다.


정은령 SNU팩트체크센터장은 “언론의 객관성 추구란 사실 전달에 그치지 않아야 한다. 불편부당성 권력 감시 견제를 해야 한다. 사실이 경시되고 객관성은 가능한가”라고 지적했다. 정은령 센터장은 “언론인의 용기와 정의를 말했지만, 그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며 “빠른 시간 안에 기사를 많이 쓰게 하는 노동 문제가 있다. 언론계 내부적으로 해결할 문제는 아니고 플랫폼과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했다.


사회를 맡은 김춘식 한국외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좋은 언론과 좋은 저널리즘 실천에 대한 사회적 보상, 그런 환경을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 특히 학계의 논의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