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e-gonghun.mpva.go.kr/user/index.do 
* "재만 조선인 불령 행동 및 단속 상황" 문서에서 "1. 남만주의 상황" 부분만 가져왔습니다.
 
소화 4년 9월 12일 (통화(通化)분관 주임 발신, 폐원(幣原) 외무대신 앞) 불령선인 검거 송치에 대한 건
재만 조선인의 불령 행동 및 단속 상황
 
1. 남만주의 상황 
공훈전자사료관 검색어 : 불령선인 검거 송치에 대한 건 --> 별도의 창이 열리므로 검색 필요
공훈전자사료관 > 원문사료실 > 독립운동사자료집 10 : 독립군전투사자료집 > 일본외무성보존문서 > 대한민국임시정부 조직에 관한 문서 속보의 건 > 소화 4년 9월 12일 불령선인 검거 송치에 대한 건 > p605~p620
 
 
조선 독립을 목적으로 과거 수년간에 걸쳐 만주에서 불령 운동을 하여 온 신민부·참의부 및 정의부의 3단체는 소화 3년 가을 대동 단결의 목적으로 길림에서 3부 통일 회의를 개최하였는바, 그 결과, 종래부터 이들 3단체 사이에 있었던 서로의 고집 및 각 파내의 세력다툼 기운을 오히려 조장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통화에서는 동년 10월을 기하여 우리 주재 관헌이 동 방면을 지구(地區)로 하는 참의부의 대검거를 실행한 결과, 참의부는 마침내 궤멸하고 그 일부는 정의부와 합쳐 흥경(興京)을 근거지로하여 국민부(國民府)라는 새로운 불령단을 조직하여 재정부·사법부·선전부 등 각종 내부적 기관을 설치하고, 완연히 하나의 독립 정부로서 지방 조선 농민에 대하였으며, 동시에 혁명군이라는 별동대를 설치하여 국민부의 명령에 복종하지 않는 조선인(농민)에 대하여 모든 폭행, 살륙 등을 행하고, 자기의 존립을 위하여 착취를 자행한 결과 수년래에 동방면의 일반 조선 농민의 생활에 다대한 위협을 주어왔다.
 
위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재 봉천총영사관에서는 조선총독부측과 협력하고, 또 통화·해룡의 양 분관과도 밀접한 연락을 유지하여 최근 2~3년에 걸쳐 국민부 소멸을 위하여 각종 부심하고 수차례 이의 토벌을 실행하였는바, 지세가 멀리 떨어져 있고 불편할 뿐 아니라, 이들 불령단이 지방 하급 관헌 및 지방민과 통모하고 있는 관계상 예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용이하게 거둘 수 없는 실정이었다.
 
그 뒤 소화 5년 조선 공산당이 중국 공산당에 가맹한 결과 공산당의 세력이 증대함과 함께 국민부도 이에 압박을 받고 한때 자취를 감추었는바, 중국 관헌의 공산당에 대한 탄압이 엄중하여짐에 따라, 국민부는 공산당 압박에 그들과 협력하여 이로써 공산당은 쇠퇴하여짐에 반비례하여 다시 세력을 되찾아 공산당에게 한때 잠식되었던 지반을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소화 6년 가을 만주사변 발발 이후, 통화·해룡 양 분관 및 안동 영사관에서는 만주측의 지방 관헌, 기타와 밀접한 연락 밑에 다음 7년 1월 중순경부터 2월 중순에 걸쳐 몇 차례의 순찰 및 일제 검거를 실시하였다. 즉, 통화분관에서는 1월 20일 때마침 국민부 대회 출석을 위하여 흥경에 집합중인 국민부 중앙집행위원 이종건(李鍾乾), 혁명군 사령관 김보안(金輔安), 동 부사령 장세용(張世湧), 동 독립 대장 이규성(李奎星), 혁명당 집행위원장 이호원, 혁명군 제2중대장 전운학(田雲鶴) 외 19명을 일거에 체포하고, 해룡 분관에서는 유하 지방에서 국민부 간부 박영훈(朴永勳) 외 7명 및 공산당원 10명을 검거하고, 또 안동 영사관에서는 혁명군 대장 이진무(李振武), 동군 간부 이삼현(李三賢)·홍학순(洪學淳)·김태묵(金泰默)·이병표(李秉彪)·안국형(安國亨) 이하 8명을 체포하기에 이르렀다.
 
이리하여 국민부 및 혁명군 간부의 주요한 자는 거의 전부 체포되어 사실상 국민부는 대부분 궤멸하였는바, 앞에 말한 각 공관에서는 나머지 분자를 철저히 박멸할 방침으로 계속 검거에 노력함과 동시에, 한편 전비(前非)를 후회하고 귀순을 신고하는 자에게는 사정이 허용하는 한 이를 용서하는 방침으로 대한 결과, 그 후 대세에 순응하여 공한 태도를 표시하여 온 자가 10수 명에 이르렀다.
 
그 후 잠시 남만 방면에서는 불령단의 책동 정보를 입수 못하였으나, 3월에 만주 신국가의 창성(創成)으로 내외적으로 다단하여 변경의 경계가 소홀한 틈을 타서 신빈현 지방에서도 반만 분자 집합체인 대도회(大刀會)·항일의용군·마전 등이 발호함에 이르러, 불령단 잔류 분자는 대도회 기타와 연락하여(일설에는 국민부 사령장 양서봉이 금천현내의 대도회에 가입하였다고 전하여짐) 그 원조을 받게 되면서 세력을 얻어 결사대·암살대 등을 조직하여 지방 재류민을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더우기 4월 통화 사건 발발은 이들 불령선인 암약의 기회를 주어 그 세력 회복을 조성하게 되었다.
 
이 정세를 이용하여 통화 일대에서 반장(叛將) 요녕민중(遼寧民衆) 자위군 총사령 당취오(唐聚五)는 신빈현 왕청문에 근거들 둔 국민부 제1지대 사령 앞으로 6월 9일자로
“자위군 조직 이래 각지의 용지 이에 참가하여 그 세력은 날로 더욱 커간다. 한국 동지로 우리 군에 참가하여 원조하고 있으므로 동지의 신분을 증명하기 위하여 이에 부호(符號)를 규정한다. 그 부호 양식은 너비 3치, 길이 4치의 백포(白布)에 ‘공작(工作)’이라고 기입하여 한국 혁명 동지의 신호를 채인(採印)하고 그 동지의 공동 동작에 나갈 때, 또는 여행할 때에 각로(各路) 군경은 일단 검사한 후 허가한다.”
라는 밀령을 띄우고 불령선인을 그 반만 운동에 이용하고자 시도하였다.
 
통화 사건 이후로는 남만 및 동변도 일대에는 의용군 및 대도회의 대립 관계에 일본군의 활동으로 국민부의 세력이 부진하였으나, 양하산(梁河山)이라는 자가 행정부 총사령으로 되어 혁명군으로서 총사령 양서봉 밑에 장총, 또는 권총을 소지한 5개 중대 약 1백 50명을 갖고, 또 별도로 일본군 및 만주 국군의 토벌에 관한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약 40명의 특무대를 설치하고, 일반 조선 농민에 대하여는 현행 대양(大洋) 1원 60전내지 3원 60전의 의무금, 기타의 세금을 강제 징수하여 여전히 준동을 계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민부에서는, 만주사변 이래 그 본래의 주장인 조선 독립운동을 항일 반만 운동으로 전환하여 장학량의 만주군 교란 음모단에 가담하여 이래 이들 각 단체와 행동을 같이하던바, 소화 7년 7월 상순경부터 동 국민부 유력자 사이에서 항일 운동의 장래를 고려하여, 연래의 숙망인 조선 독립의 방침으로 복귀하여야 한다는 의론이 대두하여 8월 5일 신빈현 위자곡(葦子谷)에 동현을 중심으로 하는 부근 현의 각 조선 농민 부락의 대표자 및 국민부 간부를 초집하여 독립운동 재건의 비밀 회의를 개최하고
① 국민부를 중심으로 하는 독립 정부 조직의 건
② 독립 정부의 군대 편성의 건
③ 각현 행정 기관 정비의 건
④ 재만 조선인 단체의 통일 및 국민 정부와의 연락의 건
⑤ 조선 현재의 사회 정치 기구의 교란 파괴의 건
⑥ 재정 방침 및 징병 제도의 확립 및 역원 선임 기타의 건
을 결의하고 동시에 독립 정부의 소재지는 통화 또는 신빈으로 하고, 그 형태는 대개 국민부 종래의 조직에 준하기로 하고, 다시 국민 정부 및 재만 조선인 단체에게 독립 정부 조직에 대하여 양해 원조를 얻고자 교섭원을 파견하고, 또 테러리스트 단을 조직하여 조선내에 파견하고 대관의 암살, 방화, 파괴 등의 작업을 결행하고자 결사투사(決死鬪士)를 인선하여, 압록강 상류의 일본·만주 관헌의 경비 소홀한 경로를 선택하여 조선내 잠입을 기도하였다고 전한다.
 
그리고, 동년 9월 만주국이 일본에 의하여 정식으로 승인되자 각지 의용군의 행동이 갑자기 활발하여 양서봉 및 양하산 등 국민부의 간부는 앞의 당취오(唐聚五)의 신임을 받아, 양자 사이에 국민부 혁명군이 의용군에 참가하여 행동을 함께 함에 있어서는 장래 의용군의 지반이 공고히 됨을 기다렸다가 혁명군의 목적인 조선 독립을 위하여 10만의 병력과 무기를 대외하고, 적극적인 원조를 주어야 한다는 취지의 밀약을 하였다고 전하여지게 되었다.
 
그런데, 10월 중순경 동변도에 일본군이 출동하여 다시 도량하려는 국민부 및 혁명군의 근거지에 일대 타격을 가하여 그 세력은 대반이 삭감되어, 그 대부분 특히 중간 간부 이하가 사방으로 이산하여 거의 통제를 잃고, 간부 양서봉·양하산·고이허 이하 재래의 당원 등 1백 명 내외도 일단 자취를 감추었으나, 다시 신빈현내에 잠입하여 은연한 세력을 계속 유지하고, 일본군의 철퇴 후에 재기 활동에 관하여 획책을 꾀하여, 그 활동 근거지를 신빈현 사도하자(四道河子)에 이동함과 동시에 근거지 이전 및 이후의 세력 확장 비용으로서 현양(現洋) 4천 원을 계상하고 군자금 모집원을 집안·관전·임강·장백·무송·통화·환인·신빈·금천·유하·안도·몽강의 각현 및 조선 방면에 파견하였다는 정보가 있다.
 
또, 일본 관헌의 조선 농민에 대한 수확 현지 보호는 그들의 군자금 징수에 일대 지장을 가져오고 있는 실정에 비추어, 현지 보호를 일본 관헌에게 요청한 조선 농민은 혁명군의 행동을 방해한 주구이므로 조사를 하여 극형에 처하고 기타의 반대 분자도 철저히 통격을 가할 것이며, 연내에 혁명군 2백내지~5백 명을 새로 모집하여 이에 충분한 훈련을 시켜, 만철 부속지는 물론 조선내에도 파견하여 군자금의 강제 징수를 할 것 등을 결정하고 다시 만철선 파괴, 일본·만주 요인의 암살 계획 등을 획책하여 여전히 책동을 계속하고 있는 듯하다.
 
(표) 남만 지방 검거 불령선인 --> p613~p620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