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0297655
[서울서 만나는 고구려] <5·끝> 마구
[동아일보] 기사입력 2005.05.05. 오후 11:24 최종수정 2005.05.05. 오후 11:24 스크랩 본문듣기 설정
금동테를 둘러 화려하게 꾸민 재갈멈추개(왼쪽)와 말띠드리개. 사진 제공 고려대박물관
고구려인들은 말 타기와 사냥 등 무예를 중시했다. 이에 따라 마구(馬具·말갖춤)가 크게 발달했다. 고구려의 마구 수준은 매우 높았고, 백제 신라와 일본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고구려의 마구는 발전된 경제와 문화, 강한 군사력 수준을 보여 준다.
이번 고려대의 ‘고구려 특별전’에는 5세기 전반 무렵의 안장턱 테두리와 재갈멈추개, 발걸이(등자), 말띠드리개 등이 전시된다. 이 마구는 1976년 평안남도 평성시 지경동 1호 무덤에서 출토됐다. 흙 속에 오래 묻혀 있었던 탓에 나무나 천 가죽으로 된 부분은 모두 썩어 없어지고 금속 부분만 발굴됐다. 쇠로 된 발걸이를 제외하곤 모두 동(銅)으로 만들고 도금한 이 마구는 화려하면서도 말을 타고 부리는 데 매우 편리하게 돼 있다.
전문가들은 귀족계급이나 지휘관급의 마구 장식으로 추정한다.
안장턱 테두리는 3.5cm 폭의 청동 띠를 U자 모양이 되도록 접어 말안장의 앞턱을 감쌌던 것이다. 안장턱에 입힌 금도금은 지금도 잘 남아 있다.
재갈멈추개는 재갈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면서 말고삐를 당기면 말의 입 양옆을 조여 주는 역할을 한다.
말띠드리개는 나무 잎사귀처럼 생겨 흔히 행엽(杏葉)이라고 불린다. 말이 발을 뗄 때마다 철렁철렁 소리를 내면서 그 위용을 보이기 위해 말의 가슴걸이에 달았던 장식품이다.
발걸이는 안쪽을 나무로 만들고 그 위에 철판을 덧씌우는 식으로 만들어졌다. 발을 딛는 부분에는 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3개의 도드라진 턱이 있다.
▽도움말=최무장(崔茂藏) 건국대 명예교수, 김두철(金斗喆) 부산대 교수
▽참고=북한 조선유적유물도감 제4권
이철희 기자 klimt@donga.com
'고구려 >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족의 혼, 고구려 여행 2] 고분 벽화 - 소년한국 (0) | 2021.01.11 |
---|---|
[민족의 혼, 고구려 여행 1] 세계 문화 유산 '고구려 유적' - 소년한국 (0) | 2021.01.11 |
[서울서 만나는 고구려] <4> 시루 - 동아 (0) | 2021.01.08 |
[서울서 만나는 고구려] <3> 불꽃뚫음무늬금동관 - 동아 (0) | 2021.01.08 |
[서울서 만나는 고구려] <1> 기마모형과 사신 - 동아 (0) | 2021.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