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4대강 녹조 방제 안 하나? 못 하나?
한국환경공단, 녹조 방제 기술 향후 몇 년 지나야 현실 적용 가능하다 밝혀
조류저감기술 보유 업체들 기술 4대강에 적용 위해서는 향후 수년 걸려
업체들 "MB정부 당시 예산 투자 자체가 적었다" 지적
신준섭 기자  |  sman321@eco-tv.co.kr  승인 2013.08.19  11:00:02

▲ 낙동강 녹조를 직접 확인하고 만져보고 있는 윤성규 환경부 장관 (자료화면)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낙동강 등 4대강 유역 전역에 만연한 녹조 방제를 유보한다는 취지의 발표를 한 가운데 녹조 방제를 못 하는 또 다른 이유가 파악됐다. 지난해 MB정부 당시 실시한 조류저감 시범 사업 결과가 부실해서다.

19일 본보가 입수한 한국환경공단의 '환경시설성능확인 시범사업 운영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환경공단 측은 상수원이나 물환경의 안전성 자체가 저해되고 있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이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때문에 이 상황을 타개하고자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조류저감기술을 보유한 7개 업체가 참여해 조류저감 기술 개발 시범 사업을 실시했다. 공단이 조류저감 기술 개발 사업을 실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의 결론부터 보면 민간의 조류저감 기술을 4대강 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년간의 추가자료 분석이 필요하다. 바꿔 말해 향후 몇 년간은 별다른 대책이 없다는 얘기다.

이 같은 결과가 나온 이유는 7개 업체의 기술 검증이 덜 됐거나 2차 환경오염 피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조류제거 원리가 유사한 3개 그룹으로 나눠 실시한 시범 사업 결과 조류를 부상시켜 슬러지를 제거하는 기술군인 응집·부상기술의 경우 대용량화가 어렵거나 이동이 어렵다.

오존이나 이산화염소, 녹조제거제 등을 사용하는 산화 기술이나 살포 기술 역시 물벼룩을 이용한 독성 실험은 통과했으나 2차 환경 피해와 같은 중장기 환경 영향에 대해서는 평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 '환경시설성능확인 시범사업 운영결과 보고서' 중 일부 발췌

그나마도 시범 사업 자체가 저수지에서 실시돼 4대강처럼 흐르는 물에 적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분석조차 제대로 되지 않았다. 단지 해당 기술들이 조류저감에 일정 부문 효과가 있다는 점만을 검증했을 뿐이다.

업계에서는 결과가 미흡했던 원인으로 MB정부 당시 예산 투자 자체가 적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시범 사업에 참여한 한 업체 관계자는 "녹조가 발생하다보니 없는 예산으로 급하게 진행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투자보다는 기업들이 기존에 갖고 있던 기술을 검증해보는 단계에 머무른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 결과에 대해 공단 관계자는 "지난해는 고여 있던 물에 시험을 했던 것이고 흐르는 물에는 올해 처음으로 조류저감시설 시범 사업을 하고 있다"며 "특정 제품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함부로 단정할 수 없는 만큼 결과를 도출하기에는 시일이 걸리는 게 당연하다"라고 해명했다.

신준섭 기자 sman321@eco-tv.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