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녹조 확산'..정부·정치권도 "대책 없다."
MBN | 입력 2013.08.21 08:19

 
【 앵커멘트 】

4대강 일대에 여전히 녹조가 확산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정치권마저 그저 바라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원인을 모르는 걸까요? 밝히지 않는 걸까요?

최용석 기자입니다.

【 기자 】

영산강 녹조가 역류해 썩어버린 마을하천. 4대강 사업 전에는 깨끗한 개울이었습니다.

▶ 인터뷰 : 마을 주민

- "(깨끗한 물이었습니까?) 이 물이요. 아이들이 목욕하는 자리였어요. 어른들도 목욕하고…."

보 설치 이후 느려진 유속으로 낙동강과 영산강, 금강까지 점령해버린 녹조. 과연 대책은 없을까? 

환경부는 지난 5월 녹조방지를 위해 전국 4대 강에 조류제거장치를 1대씩 설치했습니다.

▶ 스탠딩 : 최용석 / 기자

- "영산강에 설치된 녹조 제거장치입니다. 작은 구역이지만 하루에 약 1톤 정도의 녹조 부유물이 나온다고 합니다."

하지만, 조류제거장치로 수십 km에 달하는 녹조 띠를 제거하는 것은 '계란으로 바위 치기'. 녹조 방지막을 설치해보고 녹조를 응집해 가라앉게 하는 PAC의 양을 늘려보지만, 불안할 뿐입니다.

▶ 인터뷰 : 박병인 / 광주 환경운동연합 국토보존팀

- "화학약품(PAC)이 꾸준히 강물에 투여된다면 그 안에서 어떤 작용을 할지 모르고 장기적인 중독성은 결국 우리에게 올 것입니다. "

담당 부처 장관마저 현 녹조방지대책의 문제점을 인정했습니다.

▶ 인터뷰 : 윤성규 / 환경부 장관(9일 기자회견)

- "응집제 같은 약품을 살포해서 억제한다든지 또는 댐에 가둬진 물을 풀어서 바다로 내보낸다든지 이런 것들은 원인을 제거하는 게 아니므로…."

정치권도 현장을 방문해보지만, 형식적일 뿐입니다. 대책 없이 바라볼 수밖에 없는 녹조 확산. 정부 차원의 발 빠른 실태 조사와 함께 정확한 원인 규명이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최용석입니다. [yskchoi@hotmail.com]
영상취재: 최양규 기자
영상편집: 이재형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