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 “문제 명백히 확인되면 책임 추궁” 78.5%
4대강 사업 전체 평가 ‘부정적’ 59.1%, ‘긍정적’ 13.0%
(서울=뉴스와이어) 2013년 08월 29일 -- 4대강 사업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진행되는 가운데 과반수 국민들이 4대강 사업에 대해 부정적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이 확실히 드러날 경우 관계자 등에 대해 철저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여론이 대다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4대강 사업 평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는 지난 8월 27일 전국 성인남녀 1,070명을 대상으로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4대강 사업 평가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59.1%가 ‘부정적’이라고 답했고 23.2%는 ‘보통’, 13.0%는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잘 모름’은 4.7%였다.
![](http://i2.media.daumcdn.net/svc/image/U03/news/201308/29/newswire/20130829090811966.jpg)
부정 평가는 전라권(81.8%)과 충청권(67.6%), 30대(78.8%)와 20대(64.9%), 사무/관리직(67.3%)과 생산/판매/서비스직(66.3%)에서, 긍정 평가는 경북권(20.8%)과 경기권(15.2%), 20대(16.5%)와 50대 및 60대 이상(각각 16.2%), 학생(25.8%)과 농/축/수산업(13.8%)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정당 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가 ‘보통 35.5%>부정적 32.9%>긍정적 25.3%’, 민주당 지지 응답자가 ‘부정적 81.2%>보통 12.2%>긍정적 6.0%’ 순의 응답률을 보여 여야를 막론하고 보통 또는 부정적 인식이 높았다.
[4대강 사업 책임]
녹조 현상 등과 관련해 4대강 사업이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감사원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만약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이 확실히 드러날 경우 후속 대응으로 78.5%가 ‘관계자에 대해 철저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12.9%는 ‘지나간 일이므로 책임을 물을 필요가 없다’고 응답했다. ‘잘 모름’은 8.6%였다.
‘책임 추궁’ 응답은 경남권(83.7%)과 서울권(79.5%), 30대(88.7%)와 40대(85.8%), 생산/판매/서비스직(90.9%)과 사무/관리직(84.9%)에서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경북권(73.4%)과 충청권(76.5%), 60대 이상(62.6%)과 20대(77.0%), 농/축/수산업(56.6%)과 학생(74.1%)에서 가장 낮았다.
정당 지지도별로는 새누리당 지지 응답자가 ‘책임 추궁 67.8%>책임 묻지 말아야 20.6%>잘 모름 11.6%’, 민주당 지지 응답자가 ‘책임 추궁 91.4%>책임 묻지 말아야 6.8%>잘 모름 1.8%’ 순의 응답률을 보여 대체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다.
조사를 진행한 모노리서치의 김지완 선임연구원은 “녹조 현상과 지하수 고갈 문제 등 4대강과 관련한 문제제기가 이어지며 지난 정부의 국책 사업에 대한 평가가 다양한 각도로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여론은 4대강 사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8월 27일 저녁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70명을 대상으로 일반전화 RDD(무작위 임의걸기) IVR(ARS) 방식으로 조사했으며 성별, 연령별, 권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99%p이다.
모노통합PR센터: http://pr.mono.co.kr
출처: 모노리서치 http://www.monoresearch.co.kr
'시사 > 4대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천억 들인 ‘세종보’ 골칫거리 전락 - 충청투데이 (0) | 2013.08.29 |
---|---|
박수현 의원, "공산성 지반침하, 4대강사업 대규모 준설 때문" - 뉴시스 (0) | 2013.08.29 |
영산강 승촌보, 쌓인 부유물 녹조 가속화시켜 - 빛가람뉴스 (0) | 2013.08.29 |
나의 한 맺힌 4대강 취재기 그리고 새로운 제안 - 오마이뉴스 (0) | 2013.08.28 |
‘백제 유적’ 공산성 주변땅 곳곳 움푹…“4대강 준설탓” - 한겨레 (0) | 201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