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성 안전정밀진단 ‘알맹이’ 빠졌다
지반조사 제외 … 문화재청·충남도·공주시 책임 회피만
데스크승인  2013.09.06  지면보기 |  1면  최예린 기자 | floye@cctoday.co.kr  

<속보>=붕괴 위험성이 불거진 ‘공주 공산성’에 대한 안전진단이 예정된 가운데, 정작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 ‘지반조사’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알려져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3일자 1면 보도>

실제 공산성의 안전진단을 진행할 관련 당국들이 공산성 자체의 변형 조사만 계획하고 있을 뿐 지반 등 ‘땅 밑’ 조사는 예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5일 문화재청과 충남도 등에 따르면 현재 공산성에 대한 기초 조사를 마치는 대로 안전정밀진단에 착수할 예정이다. 

관찰된 성곽의 ‘배부름 현상’과 연지 돌계단의 휘어짐 등 공산성 변형의 진행 상황을 ‘변위계’를 설치해 모니터링을 진행하지만, 산성 밑 지반에 대한 조사는 정밀진단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화재청의 설명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계획 중인 공산성 안전 정밀진단은 문화재인 성곽 자체의 변형에 관한 것이지, 산성 밑 지반이나 지하수의 상태 등은 조사 대상이 아니다”라며 “4대강 사업과 관련된 조사는 국토부 소관”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나 공산성 밑 지반조사가 빠진 안전 정밀진단은 ‘수박겉핧기’에 불과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정찬호 교수(대전대 지반방재공학)는 “땅 밑에서 일어나는 상황도 모르고 위에서 (성곽) 변위 계측 등을 해봐야 큰 도움이 되진 않을 것”이라며 “금강 수압의 영향인지, 지질 자체의 문제인지, 지하수의 문제인지 등을 알아내려면 지반 탐사가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이어 “배불림과 지반 함몰이 일어나는 근본적인 원인을 규명한 후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지난달 28일 공산성의 변형 상태를 점검한 국민검증단 소속 문화재·토목 전문가들도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박창근 교수(관동대 토목공학과)는 “문화재 변형을 막기 위해선 4대강 사업 전후의 공산성 밑 지하수 변동과 준설 절개면에 대한 조사가 시급하다”며 “섣불리 접근할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원인부터 파악하는 것이 더이상 문화재 훼손을 막는 길”이라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충남도와 공주시 역시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한 상황에서 서로 일을 떠넘기기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난 2일 안희정 충남도지사가 공산성을 찾아 정밀 안전진단 및 장기적인 보존 방안 마련을 주문했지만 도는 아직 자체적인 점검 계획을 세우지 못한 상태다. 충남도 관계자는 “공산성 관리와 보수 주체는 충남도가 아닌 공주시”라며 “공산성에 대해선 공주시가 문화재청과 협의해 같이 조사 중”이라고 말했다. 

반면 공주시 관계자는 “공산성 안전정밀진단의 주체는 문화재청”이라며 “재정적 여력이 없는 공주시 입장에선 문화재청이 조사의 시기나 내용, 범위 등 관한 지침을 내리면 그대로 따를 수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최예린 기자 floye@cctoday.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