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기사 : '4대강 옹호' 홍준표 녹조대책 발표…"황당" - 노컷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610867  

경남도 낙동강 녹조 예방 대책 실효성 논란
환경단체 "녹조 원인서 보 배제, 실효성 의문"
연합뉴스 | 입력 2013.09.10 16:00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환경단체 "녹조 원인서 보 배제, 실효성 의문"

경남도가 10일 발표한 낙동강 녹조 예방 대책을 두고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4대 강 사업으로 보가 들어선 직후인 지난해와 올해 녹조 현상이 심화된 탓에 보가 녹조 발생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경남도는 이 점을 배제한 채 대책을 내놨기 때문이다. 

경남도가 마련한 '녹조 발생 예방을 위한 수질개선 종합대책'은 내년부터 7년간 1조3천억원을 들여 오염물질 배출 과다 지역과 주요 오염 하천(지류)을 대상으로 환경기초시설 등 설치를 확대한다는 내용이 골자이다. 이는 경남도가 낙동강 녹조 발생 요인을 중·하류 수계의 총인 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부영양화 기준(0.035㎎/L)을 연중 웃도는 등 오염물질 유입으로 분석한 데 따른 결과다. 여기에 폭염으로 인한 수온 상승과 강수량 부족에 따른 가뭄까지 겹치면서 녹조가 대량 발생했으니 일단 인위적 제어가 불가능한 자연조건은 두고 오염원을 저감하는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게 경남도 입장이다.

경남도의 이런 입장은 앞서 지난달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4대 강 사업 때 만든 보가 낙동강 중·하류를 중심으로 번지고 있는 녹조 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한 발언과도 배치된다. 이에 환경단체는 경남도가 내놓은 대책이 녹조 현상의 원인을 제대로 짚지 못했다며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감병만 마창진환경연합 사무국장은 "녹조 발생의 주 원인 가운데 하나는 물의 유속인데, 경남도는 4대 강으로 세워진 보가 물 흐름을 정체시킨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며 "(보를 배제한 채) 원인을 잘못 짚었는데 제대로 된 대책이 나올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하수관거 정비 등 사업은 이미 수질 개선을 위해 낙동강 유역에서 해마다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라며 이번에 내놓은 대책이 특별할 것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실제로 낙동강 유역에는 환경기초시설 설치·개선 등 사업에만 매년 1천억원∼2천억원 이상이 들어가고 있고 4대 강 사업 이후에는 규모가 대폭 늘어나 2012년에는 5천180억원, 올해는 5천430억원이 투입됐다.

감병만 사무국장은 원인 분석이 제대로 안 된 상황에서는 이처럼 많은 돈을 투입한다고 하더라도 녹조 현상 완화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고도 우려했다. 녹색연합도 보로 인한 물 흐름 정체 시간 증가는 감사원 감사 결과에서도 확인됐고 그로 인한 녹조 현상 심화는 당연한 결과라며 경남도가 근본 대책을 마련하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김좌관 부산가톨릭대학교 환경과학부 교수는 환경기초시설 설치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녹조 현상이 심각한 상황에서 적어도 낙동강 하류의 합천창녕보와 창녕함안보 등 2개 보에 대해서는 수문 개방을 하는 것이 추가 비용 소모를 줄이고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경남도는 이에 대해 녹조 발생 원인을 두고 다양한 각도로 분석했지만 현 상황에서는 기온이나 강수량 등이 녹조 발생에 더 큰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며 보 때문에 녹조가 발생했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고 해명했다.

ksk@yna.co.kr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