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blog.naver.com/spiritcorea/130027954119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44>제20대 장수왕(3)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42>제20대 장수왕(1) - 광인  http://tadream.tistory.com/696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43>제20대 장수왕(2) - 광인  
http://tadream.tistory.com/697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44>제20대 장수왕(3) - 광인  http://tadream.tistory.com/698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45>제20대 장수왕(4) - 광인  http://tadream.tistory.com/699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46>제20대 장수왕(5) - 광인  http://tadream.tistory.com/700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47>제20대 장수왕(6) - 광인  http://tadream.tistory.com/701
      하나도 모르고 쓰는 역사 이야기<48>제20대 장수왕(7) - 광인  http://tadream.tistory.com/702

남조의 유송이 그렇게 고구려에게 사신 보내고 구애할 무렵, 고구려는 북조와 대치중이었다.

 

[卅七年春二月戊午朔, 遣阿知使主, 都加使主於吳, 令求縫工女. 爰阿知使主等, 渡高麗國欲達于吳. 則至高麗, 更不知道路, 乞知道者於高麗. 高麗王乃副久禮波, 久禮志二人爲導者. 由是得通吳. 吳王於是與工女兄媛, 弟媛, 吳織, 穴織, 四婦女.]

37년(427) 봄 2월 무오 초하루에 아지사주(阿知使主), 도가사주(都加使主)를 오(吳)에 보내어 봉공녀(縫工女)를 구하게 했다. 아지사주 등은 고려국을 거쳐 오에 가려 했다. 고려에 갔지만 길을 몰랐으므로 길 아는 사람을 고려에 청했다. 고려왕은 구례파(久禮波), 구례지(久禮志) 두 사람을 인도자[導者]로 붙여주었다. 덕분에 오에 갈 수 있었다. 오왕은 공녀 형원(兄媛), 제원(弟媛), 오원(吳織), 혈원(穴織)의 네 명의 부녀를 주었다.

《니혼쇼키(日本書紀)》 권제10, 오우진키(應神紀) 37년 병인(보정연대 427)

 

《니혼쇼키》보정연대 대로라면 이 일은 거련왕 15년에 있었던 일이라는데, 정말 이랬다면 이때의 왜국의 항해 수준이라는 것이 얼마나 형편없었는가는 짐작하고도 남겠다. 오(吳), 즉 중국 강남 땅으로 가기 위해서 고려의 길을 빌릴 수밖에 없었다는 게. 백제도 있으면서 굳이 백제를 놔두고 고려의 길을 빌려서 중국으로 가야했던 이유는 또 뭐야?

 

[十五年, 移都平壤.]

15년(427)에 서울을 펴라[平壤]로 옮겼다.

《삼국사》 권제18, 고구려본기6, 장수왕

 

427년. 즉위 15년만에 거련왕은 평양으로 수도를 옮긴다. 《삼국사》의 말을 빌리면 동황성(東黃城)에 도읍한 지 85년 만의 일이었다.

 

<거련왕이 천도한 평양성의 지도. 국내성처럼 방어용 산성과 평지성을 나누어 만들었다.>

 

비좁게 느껴지는 국내성에서 뛰쳐나와, 드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는 수도 평양으로. 그리고 선대의 국내성이나 홀승골성과 마찬가지 평시용 평지성과 전시용 산성을 지었는데, 그것이 지금 평양에 남아있는 대성산성과 안학궁터다. 실제로 대동강변에 남아있는 평양성은 장수왕 당대의 것이 아니라, 거련왕 하고도 몇십년이나 더 지난 평원왕 때에 이르러서 옮긴 '장안성'으로, 오늘날에는 '평양성'이라고 하면 바로 이 '장안성'을 가리킨다. 또한 지금 평양 시가지가 조성된 곳이기도 하다.

 

평양의 대궐을 흔히들 '안학궁(安鶴宮)'이라고 부르는데, 안학궁이 있는 곳의 지세가 '학'이 편안하게 날개를 펴고 앉아서 쉬고 있는 것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했다. 《삼국사》에서 이름이 나오지 않은 대궐이라 그 이름이 어디서 유래된 것인가 싶었는데, 조선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평양부 역원의 이름 가운데 '안학궁원(安鶴宮院)'이라 해서 안학궁의 북쪽에 있었다고 했으니 조선조에도 '안학궁'이라는 이름이 알려져 있었던 듯 싶고, 이유원이라는 사람이 지은 《임하필기》에도 고구려의 궁궐 이름으로 안학궁이 나오며, 마지막으로 《해동역사》에서 고구려의 궁궐 이름이 맞다고 고증을 해놔서 지금은 그렇게 굳어졌다. 다만 이때의 학자들은 평양성과 장안성이 서로 다른 곳인줄 알지 못해서, '장안성 안에다 안학궁을 지었다'고 해놓은 바람에 오류가 생기는 걸 면치 못했지만.

 

《삼국사》 지리지에서 말한 대로라면 유류왕이 국내성으로 옮긴지 425년만에 옮긴 것인데, 고구려의 숱한 지명들에 대해서 '어딘지 나도 모르겠다'던 부식이 영감조차도, 평양의 위치에 대해서만은 지금의 평양이 곧 고구려 당시의 평양이라고 김부식 영감 본인이강력하게 밀고 나오는 바다.(지금까지 부정하는 사람도 없는 것 같고)

 

[平壤城似今西京, 而浿水則大同江, 是也. 何以知之? 唐書云『平壤城, 漢樂浪郡也. 隨山屈繚爲郛, 南涯浿水.』 又志云『登州東北海行, 南傍海壖, 過浿江口椒島, 得新羅西北.』 又隋煬帝東征詔曰『滄海道軍, 舟艫千里, 高帆電逝, 巨艦雲飛, 橫絶浿江, 遙造平壤.』 以此言之, 今大同江爲浿水, 明矣. 則西京之爲平壤, 亦可知矣.]

평양성은 지금(고려)의 서경(西京)인 듯하고, 패수(浿水)는 대동강이라는 것이 옳다. 어떻게 아는가? 《당서(唐書)》에

『평양성은 한(漢)의 낙랑군이다. 산을 따라 굽이쳐 둘러싸서 성곽을 만들고, 남쪽으로는 패수 물가에 닿았다.』

하였고, 또 지(志)에서는

『등주(登州)의 동북쪽 바다로 나가서 남쪽으로 해안을 끼고 가면, 패강(貝江) 입구의 초도(椒島)를 지나 신라 서북쪽에 닿는다.』

고 하였다. 또 수 양제(煬帝)의 동정(東征) 조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창해도군(滄海道軍)의 뱃머리가 천 리에 이어지니, 높은 돛은 번개 달리듯 하고 큰 함정은 구름 날 듯 하여, 패강을 가로 끊고 평양으로 질러 간다.』
이로써 말하면 지금의 대동강이 패수라는 것은 명백하다. 즉 서경이 평양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삼국사》 권제37, 잡지6, 지리지 고구려조

 

여기서 말하는 한의 낙랑군이라는 것은 대무신왕 때 후한의 광무제가 설치했다는 낙랑군을 말하는 것 같다. 패수의 위치를 따져서 지금 평양의 위치를 비정한 것인데, 희한하게도 후대 학자들 중에서 이에 대해 반대의견을 내놓거나 하는 사람이 없다. 다만 단재 선생께서 <평양패수고>라고 해서 평양의 위치 비정에 대해 몇 가지 해석을 내놓으신 바가 있다. 거기에 따르면 문헌에 나오는 '평양'이라는 지명의 위치는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르다고 했는데,

 

1) 삼조선(고조선) 시대의 평양(지금의 만주 봉천성 해성현)

2) 삼국-남북국 양 시대의 평양(이 시점에서 봉천성 해성현과 함께 지금의 평양이 추가됨)

3) 고려 이후의 평양(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평양)

 

이렇게, 서로 다르단다. 단재 선생은 '평양'을 '펴라'로 읽으셨는데, 우리나라와 중국의 기록에 나오는 평양(平穰)ㆍ평나(平那)ㆍ변나(卞那)ㆍ백아(百牙)낙랑(樂浪)ㆍ낙량(樂良)은 모두 '펴라'를 음차하여 적었다는 것이다. 우리 나라 말에서 라(羅)ㆍ량(良)ㆍ로(盧)ㆍ노(奴)ㆍ루(婁)ㆍ나(那)ㆍ아(牙)ㆍ양(壤)ㆍ야(耶)는 모두 '내[川]', 즉 '강물'이라는 뜻인데, 우리말의 '나라'라는 단어가 곧 '나루[津]'에서 유래했다고. '강' 근처에 세운 국가를 '나라'라는 단어로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단재 선생께서 증거자료로 내세운 것이 《훈민정음》과 《노걸대》, 《박통사언해》같은 고려-조선조 문헌이었다. 지금은 우리말에 없는 'ㅿ' 발음이 대체로 'ㄹ' 비슷한 발음인데, 《훈민정음》에서 이 글자를 설명하면서는 "ㅿ는 양(穰)자의 첫 발성과 같으니라[ㅿ如穰字初發聲]"라고 적었다. 단재가 논문 쓸 무렵에는 이미 소멸된 발음이었던 'ㅿ'발음이 '양(穰)'자와 똑같다는 것, 《노걸대》및 《박통사언해》에서 북경어의 '날[日]'을 'ㅿ'로 발음한다는 것에 착안해 그 발음이 'ㄹ'과 비슷한 발음이라는 것을 추론해내고, 또한 당시 '평량립(平壤笠)'을 '패랭이'라고 부르는 것에 기인해 '평양'은 곧 '펴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신 것이다.

 

그와 동시에 '펴라'의 '라(나)'를 강의 뜻으로 본다면 평양 즉 펴라 근처에 있는 강인 패수(浿水), 패강(浿江), 패하(浿河) 역시도 '펴라'라고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셨는데,('패'는 '펴'자의 첫 발음 'ㅍ'을 음차한 것이고 '수(水)'나 강(江), 하(河)는 다 '물'의 뜻이니까.) 평양이 있는 곳에는 언제나 패수가 있고, 패수가 있어야만 평양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하셨다. 즉 '평양'과 '패수'라는 단어는 '펴라'라는 한 단어를 다른 한자를 써서 음차한 것에 불과하며, 둘중 어느 하나의 위치만 확실하게 밝혀도 나머지 하나의 위치도 자연스럽게 밝혀진다는 것. 이지마는 너무 복잡해서 핑핑 돈다. 그나마 다행인게 뭐냐면 거련왕의 평양은 우리가 알고 있는 그 평양이 맞다는게(단재 선생이 그거 하나는 확실히 말을 해주시니까), 안 그랬으면 자료 더 조사하느라 완전히 돌아버렸을 거다.

 

어쨌거나 여기서부터는 고려라고 불러야 되겠다. 부식이 영감은 이 고구려가 처음부터 끝까지 '고구려'만 국호로 쓴 것처럼 본기에 적어놨지만, 실은 그렇지도 않다. 왜냐면 《삼국사》 잡지 고구려조에, 《신당서》 기록을 인용해다가 적으면서는

 

[渤海人武藝曰 『昔高麗盛時, 士三十萬, 抗唐爲敵.』 則可謂地勝而兵强]

발해 사람 무예(武藝)가 말하기를

“옛날 고려(高麗)가 강성하였을 때, 30만 군사로 당에 항거하여 적대하였다.”

고 하였으니, 땅이 크고 군사가 강하다고 할만 하였다.

《삼국사》 권제37, 잡지6, 지리지 고구려조

 

라고 하면서, 발해의 전신이 고구려 즉 '고려'임을 적어놓고 있다. 신라 말기의 대학자였던 최치원 역시,

 

[伏聞, 東海之外有三國, 其名馬韓 · 卞韓 · 辰韓. 馬韓則高麗, 卞韓則百濟, 辰韓則新羅也.]

엎드려 듣건대 동쪽 바다 밖에 세 나라가 있어 마한ㆍ변한ㆍ진한이라 하였습니다. 마한은 고려, 변한은 백제, 진한은 신라입니다.

최치원, '태사(太師) 시중에게 올린 편지' 中

 

라고 적어놨다. 고구려가 '고려'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일이 있음을 말하는 거다. 최치원 자신은 신라인이라는 자부심이 너무 강했던 사람이었달까 아니면 소중화의식이 너무 강한 사람이었달까

(중국처럼 자신들이 천하의 중심이라고 여기는 것은 사실 일본이나 신라, 발해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고려의 후계인 발해를 '옛날 고려'라고 말을 하면서도, 동족이라기보다는 일종의 '라이벌'로 의식했던 듯 하다.

 

서론이 너무 길었고, 아무튼 뭐 내가 하고 싶은 말은 이거다.

"이제부터는 '고려'라고 부르겠소."



20대 장수왕 관련글
      장수왕(長壽王) - 한국역대인물,한국사DB,위키  http://tadream.tistory.com/364
      장수왕 - 위키  
http://tadream.tistory.com/363
      장수왕 : 고구려의 정치,사회,문화의 전성기 - 네이버캐스트  http://tadream.tistory.com/378
      장수왕[長壽王,394~491] - doopedia  
http://tadream.tistory.com/691
      고구려왕 일대기 (20대 장수왕) - jo29694631  http://tadream.tistory.com/209  (비공개)
                                                                    http://blog.naver.com/jo29694631/10109203941 (원문)   

Posted by civ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