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contents.nahf.or.kr/item/level.do?levelId=ku.d_0001_0070_0050_0230&isViewType=detail
두도립자산성(頭道砬子山城)
두도립자산성 위성사진, 지도 https://bit.ly/3zeDRZE https://tinyurl.com/23hyr5tu
시대 : 고구려, 명, 후금
유형 : 성곽>산성
위치(출토지)
요녕성 무순시 신빈현 영릉진 두도립자촌 (遼寧省 撫順市 新賓縣 永陵镇 頭道砬子村)
랴오닝성 푸순시 신빈시엔 영링전 토따오라즈춘 (辽宁省 抚顺市 新宾县 永陵镇 头道砬子村)
랴오닝성 푸순시 신빈시엔 영링전 토따오라즈춘 (辽宁省 抚顺市 新宾县 永陵镇 头道砬子村)
형태사항 : 성의 동서길이 40m, 남북너비 35m│성벽 높이 1m, 너비 2m, 1점
조사내용
1990년대 초반 무순시 사회과학원(전파 등) (撫順市 社會科學院(傳波 等))
혁도아랍성(赫圖阿拉城)을 중심으로 그 주위의 이전창평지성(二砖廠平地城), 온가요서산성(温家窑西山城), 아화락성(阿伙洛城), 영릉후보동산성(永陵後堡东山城), 나가보자성(罗家堡子城), 위가보성(魏家堡城), 역마도반성(驛马道班城), 주자산성(珠子山城), 달자영성(达子营城), 두도보성(头道堡城), 삼도보동산성(三道堡東山城), 점장대성(点将臺城), 그리고 두도립자성(头道砬子城) 등 10여개의 후금시기의 성(漢, 고구려시기에 축조되어 후금시기에 계속 사용된 성 포함)을 조사함. 이들 성들은 혁도아랍성에서 가까우면 2.5㎞, 멀어도 10㎞ 안에 위치하고 있음.
구조특징
국가문물국(國家文物局)은 성이 평지에 위치한다고 기록함(국가문물국/國家文物局, 2009). 성에 대해 현지주민들 사이에는 ‘성자지(城子地)’로 전해 내려오고 있음. 성은 정방형에 가깝고, 성벽은 토석을 다져서 축조함. 성 안에는 조씨(趙氏) 무덤 2기가 있음. 성은 현재 채소밭으로 개간되어 있음.
역사적 의미
산성은 고구려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목저(木底)에서 환도(丸都)로 가는 길에 위치한 중요한 산성으로 추정됨(왕몐허/王綿厚·리젠차이/李建才, 1990). 후금대에도 건주여진(建州女眞)이 계속 사용한 것으로 추정됨(촨보/傳波, 1994). 한편 산성에서 고구려유물이 발견되지 않았고, 성의 입지선택과 성벽구조 모두 고구려와 다르기 때문에 고구려산성으로 볼 수 없다는 견해도 있음(샤오징뒤안/肖景全·정천/鄭辰, 2007).
영릉진 분지에 위치한 영릉진고성(永陵鎭古城)·비아랍성(費阿拉城), 이들의 북쪽에 위치한 나가보산성(羅家堡山城)·두도립자산성(頭道砬子山城)·삼도보동산성(三道堡東山城), 서쪽에 위치한 온가요산성(溫家窯山城)·아화락산성(阿伙洛村山城) 등의 위치관계와 규모를 고려하면, 두도립자산성(頭道砬子山城)은 대체로 영릉진고성·비아랍성의 소형 위성으로 추정됨. 특히 초창북구 연안이 오래전부터 신빈~청원 분수령을 넘나드는 통로였고, 현재 영릉진~청원현 지방도로가 개설된 것으로 보아 대체로 청원현 방면에서 영릉진 분지로 진공하는 적군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보이고, 남쪽의 나가보산성과는 상호 보완관계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됨(여호규, 1999).
왕몐허(王綿厚)(2002)은 두도립자산성이 고구려 창암성(蒼巖城)일 가능성이 있다고 봄. 『구당서』와 『신당서』의 기록을 보면 창암성은 항상 신성(新城) 및 목저(木底)와 연관되어 있음. 『구당서』권 111 설인귀전의 “(高麗)男生弟南建率國人遂擊同善等, 詔仁貴統兵爲後援 …… 同善等至新城 夜為賊所襲。仁貴領驍勇赴救, 斬首數百級. …… 拔其南蘇·木底·蒼巖三城, 始與男生相會”라는 기록을 보면, 설인귀(薛仁貴) 등은 먼저 신성에 이른 다음 연이어 남소(南蘇)·목저(木底)·창암(蒼巖)을 정벌하고 있음. 이로 볼 때, 창암성은 요하를 건너 신성과 목저성을 지나서 위치한 고구려 남도(南道)의 중요 산성으로 볼 수 있음. 기사를 볼 때, 창암은 신성과 목저성 동쪽에서 찾아야 하는데, 신성은 무순의 고이산성(高爾山城), 목저성은 신빈의 오룡산성(五龍山城)으로 추정됨. 두도립자산성은 이들 성들과 동일교통로 상에 있고, 목저성(오룡산성)에서 동쪽 30㎞ 소자하 북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토군인 이도자한성(二道子漢城)에 가까운 중진(重鎭)이며, 또한 고구려 남도상의 기점임.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보면 두도립자산성이 창암성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음.
자연환경
신빈현에서 서쪽으로 23㎞ 떨어진 영릉진 북쪽 초창북구(草苍北沟)의 두도립자촌 안에 위치함. 영릉진 일대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작은 분지이지만, 북쪽의 초창하(草蒼河)·협하구(夾河口), 남쪽의 이도하(二道河)가 소자하(蘇子河)와 합류하면서 비교적 넓은 충적평지를 형성하고 있음. 산성의 동남쪽으로 펼쳐지는 초창북구는 영릉진 북쪽의 큰 골짜기(大溝)로, 초창하를 따라 남북으로 좁고 길게 자리 잡고 있는데 초창하가 충적되어 형성되었음. 초창하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흘러 소자하로 유입됨.
초창북구를 따라 남쪽으로 가면 박가보자촌(朴家堡子村)과 나가보촌(羅家堡村)이 차례로 나오고, 나가보촌 뒷산에는 나가보산성(羅家堡山城)이 있음.
두도립자촌에서 남쪽으로 5㎞ 떨어진 지점에 영릉이 있음. 산성에서 초창북구를 따라 남쪽으로 6㎞ 정도(王綿厚는 5㎞라고 기록함(王綿厚·李建才, 1990; 王綿厚, 2002)) 가면 소자하가 나오는데 소자하 남안에는 영릉진고성(永陵鎭古城), 동남쪽에는 비아랍성(費阿拉城)이 있음. 두도립자촌에서 동남쪽으로 10㎞ 떨어진 지점에 혁도아랍성(赫图阿拉城)이 있음. 서북쪽으로 40㎞ 떨어진 지점에 오룡산성(五龍山城)이 있음. 영릉진을 기점으로 하는 초창북구 연안의 지방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가면 신빈~청원 분수령을 넘어 청원현(淸原縣)으로 들어갈 수 있음.
산성에서 초창북구를 따라 남쪽으로 6㎞ 정도 가면 소자하가 있는데 소자하 중류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음.
동남쪽으로 30㎞ 떨어진 지점에 환인 경내 고구려시대 횡도하자애구(橫道河子隘口)가 있음. 횡도하자애구는 신빈현 동남 소자하 지류 차로구(岔路溝)와 환인현 혼강 지류 횡도하자(橫道河子) 사이의 교통 협구(陜口)에 위치함. 그 방위는 대체로 동경 125° 북위 41°30′임. 이 협곡의 입구(隘口)와 그 서쪽에 위치한 해발 1,041m의 나권구 주봉우리(羅圈溝主峰)과의 거리는 불과 5㎞임. 예전부터 소자하 상류 차로구(岔路溝)의 산 사이의 길은 소자하 하곡(하곡)에서 혼강 하곡으로 진입하는 중요교통선이었음(王綿厚·李建才, 1990).
두도립자촌 북쪽에는 용강산(龍崗山)이 있고, 동쪽과 서쪽 모두 룡강산의 지맥이 뻗어 있음.
유물정보
청화자기편(靑花瓷器片) 1점
소자하 일대 성 분포도
두도립자산성 주변도
두도립자산성 주변 지형도
참고문헌
· 王綿厚·李建才, 『東北古代交通』, 瀋陽出版社, 1990
· 傳波, 「六祖城」『撫順地區清前遺跡考察紀實』, 遼寧人民出版社, 1994
· 王綿厚,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2002
· 余昊奎, 『高句麗 城』 Ⅱ(遼河流域篇), 國防軍史硏究所, 1999
· 王禹浪·王宏北,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 (上), 哈爾濱出版社, 2007
· 肖景全·鄭辰, 「撫順地區高句麗考古的回顧」『東北史地』 2007-2, 2007
'고구려 > 성,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이찰성 (覺尔察城)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0) | 2024.09.21 |
---|---|
삼송산성(杉松山城) - 동북아역사넷 (0) | 2024.09.20 |
오룡산성; 하외보산성(五龍山城; 下崴堡山城) - 동북아역사넷 (0) | 2024.09.18 |
하서촌고성(河西村古城) - 동북아역사넷 (12) | 2024.09.15 |
목저성 - 매경,나무위키,우리역사넷 (2) | 2024.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