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Contents?contents_id=E0050528
정안국 관련글
정안국[定安國] - 민족문화대백과 http://tadream.tistory.com/7028
정안국 - 위키 http://tadream.tistory.com/7029
정안국 - 엔하위키미러 http://tadream.tistory.com/7030
후발해와 정안국 - 고구려연 http://tadream.tistory.com/7031
정안국[定安國]
집필자 노태돈|김선주
발해 유민들이 압록강 유역에 세운 나라.
926년 정월 거란의 기습 공격으로 발해가 멸망하고, 그 땅에 동단국(東丹國)이라는 거란의 괴뢰정권이 세워졌다. 그러나 곧이어 928년 동단국이 요동(遼東)지역으로 옮겨짐에 따라, 발해의 옛 영역의 대부분은 사실상 거란의 지배권 밖에 놓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발해 멸망 직후부터 각지에서 일어났던 발해 유민의 저항과 활동은 더 격렬해졌다.
그 가운데 압록강 유역은 지세가 험난하고 압록강을 통한 외부와의 교통과 물자공급이 용이하여 부흥운동의 유력한 구심점이 되었다. 초기에 이 지역의 발해 유민 집단은 발해 왕족인 대씨(大氏)에 의해 영도되었고, 옛 발해의 남경남해부(南京南海府) 지역 등을 지배하는 등 상당한 세력을 구축하였다. 대외적으로도 929년부터 936년까지 몇 차례에 걸쳐 발해라는 국명으로 후당(後唐)에 사신을 보내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이를 926년 이전의 발해왕국과 구분하여 편의상 ‘후발해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왕국의 대외 활동은 그 뒤 954년 7월 발해국의 호족 최오사(崔烏斯 또는 崔烏斯多) 등 30여 인이 후주(後周)에 귀화했다는 기록 이외에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다가 다시 970년 중국의 송나라에 사신을 보내면서, 압록강 유역 발해 유민의 나라의 동향이 재차 국제무대에 나타나게 되었다.
그런데 이 때의 나라 이름은 정안국이었고, 그 왕실은 열씨(烈氏)였다. 즉, 936년에서 970년 사이의 어느 시기에 대씨의 후발해국에서 열씨의 정안국으로 왕조가 바뀌었음을 말해 준다. 이러한 면에서 934년(태조 17) 7월에 발해국 세자 대광현(大光顯)이 수만의 무리를 이끌고 고려로 넘어온 사실이 주목된다. 이어 938년에도 발해인 박승(朴昇)이 3,000여 호를 이끌고 고려로 넘어왔다. 이러한 사실은 당시 후발해국이 심각한 내란 상태에 빠져 있었음을 시사한다. 바로 이 무렵에 후발해국의 주도권이 대씨로부터 호족인 열씨와 오씨(烏氏)로 넘어갔다고 짐작된다. 954년에 발해의 호족 최오사 등이 후주에 망명한 사실도 이와 연관되는 것으로 보인다.
열씨가 정권을 잡은 정안국은 970년 송나라와 국교를 맺었다. 송나라는 숙적 요나라를 공략하기 위해 정안국과의 관계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런데 981년 송나라에 보낸 정안국의 국서에 실린 왕의 이름은 오현명(烏玄明)이었다. 이는 왕실이 열씨에서 다시 오씨로 바뀌었음을 말해 준다. 오씨는 발해국 존립 당시부터 대표적인 성씨의 하나였다. 열씨에서 오씨로 왕실이 교체된 시기는 분명하지 않으나, 979년(경종 4) 발해인 수만 명이 고려로 넘어온 일이 있었는데, 이 사건은 정안국 내의 정권교체에 따른 여파로 보인다.
그 뒤 정안국은 송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요나라에 대한 협공책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당시 송나라는 지금의 중국 간쑤성(甘肅省) 방면에서 일어난 서하(西夏)의 침공을 저지하는 데 급급했기 때문에 요나라에 대한 협공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양국은 사신 왕래만을 빈번히 하였다.
당시 정안국은 자체의 연호를 사용하는 등 독자적인 국가체제를 갖추어 나갔다. 그러나 요나라의 세력이 동으로 뻗쳐옴에 따라 위기를 맞게 되었다. 요나라는 고려에 대한 공격을 기도하면서, 먼저 양국의 중간에 있던 압록강 유역의 정안국에 대해 대규모 정벌전을 벌였다. 983년 10월 요나라는 압록강 일대를 공격해 다음 해 4월까지 작전을 감행하였다. 이 원정은 고려의 북쪽 국경지대에까지 미쳐 고려에도 충격을 주었다. 이 작전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듯하지만, 압록강 중류지역에 위치한 정안국의 안전은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어 985년 요나라가 재차 대규모 원정을 감행하여, 이듬 해 봄까지 포로 10여만 명과 말 20여만 필을 노획하고 정안국을 멸망시킨 뒤, 그 땅에 4개 주(州)를 설치하여 직접 지배하였다. 이 후에도 압록강 유역 발해 유민의 움직임은 두 차례 더 보이나, 실제적으로 정안국은 986년 소멸되고 이 지역 발해 유민의 부흥운동도 이와 함께 종결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송사(宋史)』
『오대회요(五代會要)』
『渤海國志長編』(金毓?, 華文書局, 1934)
「고려와 발해」(이용범,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74)
「定安國に就いて」(和田淸, 『東亞史硏究-滿洲篇-』, 1955)
정안국 관련글
정안국[定安國] - 민족문화대백과 http://tadream.tistory.com/7028
정안국 - 위키 http://tadream.tistory.com/7029
정안국 - 엔하위키미러 http://tadream.tistory.com/7030
후발해와 정안국 - 고구려연 http://tadream.tistory.com/7031
'발해 > 멸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안국 - 엔하위키미러 (0) | 2013.07.04 |
---|---|
정안국 - 위키 (0) | 2013.07.04 |
발해의 멸망과 부흥 - 민족문화대백과 (0) | 2013.06.30 |
발해가 멸망할 때 後三國의 영웅들은 무엇을 했나? - 원대신문 (0) | 2013.05.31 |
보하이족(渤海族)은 누구이고, 코략족(高麗岳族)은 누구인가? - 이병화 (0) | 201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