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궐한 녹조라떼... 칠곡보가 위험합니다
[현장] 녹조와 '부실 수문'에 농지 침수 피해까지... "대책 시급"
13.08.01 14:40 l 최종 업데이트 13.08.01 14:40 l 정수근(grreview30)
▲ 칠곡보 상류에 핀 녹조. 낙동강 녹조는 빠르게 북상하면서 현재 구미보까지 녹조가 강하게 피어올랐다 ⓒ 정수근
지난 6월 초에 처음 발견된 낙동강 녹조는 더욱 커졌다. 7월 30일 낙동강 함안보에서 올 들어 첫 조류경보제 경보가 발동됐다. 그 상류로 합천창녕보, 달성보, 강정고령보, 칠곡보, 구미보 또한 경보 수준의 조류가 창궐한 상황이다.
'녹조라떼' 펑펑 새는 칠곡보
이른바 '녹조라떼' 현상으로 낙동강은 거대한 녹조 배양소이자, '녹조라떼' 공급처가 됐다. 이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이런 일이 도대체 왜 낙동강에서 일어나는 것일가? 낙동강이 8개의 거대한 보로 막혔기 때문이란 게 환경단체와 하천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그렇다면 강물을 막은, 무게가 600톤 이상이 나간다는 저 거대한 보의 수문에는 문제가 없을까? 보의 안전을 고려하면 그렇게 무겁고 큰 수문을 달 이유가 없다는 게 토목학자들의 중론이다. 즉 대운하를 염두해두었기에 저런 거대한 수문이 탄생했다는 것이다.
7월 말 녹조 탐조 차 찾은 낙동강 칠곡보의 거대한 수문 세 개는 굳게 닫혀 있었다. 그런데 그 수문 중 두 개에서 물이 펑펑 새고 있었다. 수문 오른쪽 옆구리 사이로 강물이 마치 폭포수마냥 펑펑 새는 게 아닌가.
▲ 굳게 닫힌 칠곡보 수문에서 마치 폭포수마냥 강한 물줄기가 새어나오고 있다 ⓒ 정수근
이른바 '부실 수문'의 현장을 목격한 셈이다. 지난 1월 감사원은 "구미보 등 12개 보는 수문 개폐 시 발생하는 유속으로 인한 충격 영향 등이 설계에 반영되지 않아 수문 운영에 차질이 예상된다"며 "칠곡보 등 3개 보는 상·하류 수위차로 인한 하중조건을 잘못 적용·설계해 수압을 견디지 못할 경우 수문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의 '4대강 감사발표' 그대로 부실 수문이 현실이 됐다.
물이 펑펑 새어나오는 문제의 수문에서는 큰 굉음도 들린다. 육중한 수문에서 뭔가 큰일이 일어날 것 같은 불안감이 들 정도다. 칠곡보 관리사무소 관계자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이유를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