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침식·생태계훼손... 죽어가는 금강 ‘쟁점화’
환경단체, 4대강 설치 보 주원인 지적 … ‘재자연화’ 주장
데스크승인  2013.08.28  지면보기 |  1면 최예린 기자 | floye@cctoday.co.kr  

최근 금강을 비롯한 4대강 유역에서 대규모 녹조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4대강에 설치한 보를 허물고 하천을 ‘재자연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4대강 사업 이후 금강의 수(水)환경 변화를 조사한 결과가 나오면서 이런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관련기사 2면

충남도가 지난 21일 공개한 ‘금강 정비사업 이후 수(水)환경 모니터링 2차년도 연구 결과’를 보면 금강의 수질을 비롯한 수생태계는 사업 이전과 별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더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애초 지난 정부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추진할 당시 주장한 기대 효과와 상반된 결과다.

정비사업 후 금강의 수질은 그 이전과 전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공사의 영향으로 부유물질(SS)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등 더 악화된 정황마저 포착됐다.

지난 26일 환경부가 발표한 ‘4대강·주요 상수원 호소 및 정수장 수질현황’에 자료에 따르면 폭염이 지속된 8월 한 달 동안 금강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인근의 남조류 세포 수 역시 크게 증가했다. 특히 금강 하류 백제보에 출현한 남조류 세포 수는 지난 12일부터 9일 만에 7배 이상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것이 환경부 조사에서 드러났다.

이를 놓고 지역 환경단체들은 금강에 설치한 보가 하천의 흐름을 막아 유속이 느려져 발생한 당연한 결과라고 주장한다. 이례적인 대규모 녹조 발생에다 수생태계까지 훼손된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보가 어류의 물길을 방해하면서 4대강 사업 완료 1년 만에 기존 어종의 움직임이 눈에 띄게 줄었고, 수변에 자연 서식하던 식물들이 고사하는 등 환경 변화가 관찰됐다. 여기에 하강 침식으로 바닥공 유실 등 보 안정성 문제까지 제기되면서 4대강 ‘살리기’가 아닌 ‘죽이기’ 사업이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또 지난 정부가 4대강 사업의 핵심 추진과제로 주민과 함께하는 복합공간 창조, 강 중심의 지역 발전을 내세웠지만 결과적으로 이마저도 요원한 상황이다. 

정부가 대대적인 홍보를 벌인 자전거 도로의 경우 금강변이 아닌 국도 한 가운데 만들어져 문화 활동이나 레저의 개념과는 거리가 먼 구조물에 불과한 상태고, 보 인근 인공시설물 역시 주변 자연 경관과 어울리지 못한 채 방치돼 있다.

이런 이유로 금강 수(水)환경을 꾸준히 모니터링 해온 지역 환경단체들은 지난 정부가 주장한 4대강 사업의 효과를 모두 ‘허구’로 규정하며 3개 보의 철거와 하천의 재자연화를 주장하고 있다.

양흥모 금강을 지키는 사람들 집행위원장은 “당장 보를 철거하자는 것이 아니라 일단 수문을 상시개방하고 순차적으로 재자연화 하자는 것”이라며 “정부는 기회비용과 예산 문제를 운운하며 이 문제를 회피하려 하지만 이대로 금강을 방치한다면 더 큰 예산 낭비와 환경 재앙을 불러올 것”이라고 꼬집었다.

최예린 기자 floye@cctoday.co.kr



Posted by civ2
,